학술논문
초·중등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비교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박재국 안성우 김자경 강영심 황순영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8권 제2호, 247~26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중등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실태 및 경향을 파악하고, 이러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장애학생을 이해하고 지원해 주는 행동으로 전이될 수 있도록 교육적 중재를 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P도시의 초․중학교 일반학생 598명(초등학생 299명, 중등학생 299명)을 대상으로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초․중등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실태를 비교하기 위하여 χ2검증을 실시하였고, 초․중등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경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t검증,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각 변인별 영향요인을 검토하기 위하여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중등학생이 초등학생보다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가 좀 더 긍정적을 나타났고, 둘째, 초․중등학생 간에 인지적 태도와 정서적 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중등학생이 더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셋째, 초․중등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형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에서 중등학생은 영상자료를 통해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는데 반해 초등학생은 체험활동, 서적, 교육, 영상자료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생에게 좀더 다양한 교수방법과 장애이해 활동경험을 제공하여 올바른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일이 중요함을 시사 받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examine the factors which affect this attitude. And final aim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ducational intervention which contain understanding disabilities and support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more positive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s were found on the cognitive and emotional attitude. Third, middle school students form the attitude toward disabilities by visual materials, but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experience activity, books, education, visual materia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seems to suggest that providing more various instructional methods and experience for understanding disabilitie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importa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의미구조 중심의 이야기구성도 작성 훈련이 읽기 학습장애아동의 독해력, 읽기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 특수하급 교사의 읽기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시각장애학생의 수학학습 기피성향 분서
-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 협력교수 실행에 관한 협력교사들의 인식 분석
- 특수교사의 자기장학 수행수준과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 자아개념 증진 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학습태도와 사회성 향사에 미치는 효과
- 특수교육 보조원제 운영에 대한 만족도 조사
- 통합 학급운영에 필요한 교사지원 유형에 관한 고찰
- 모 애착강화 및 정서지원 프로그램이 반응성애착장애 아동의 발달 및 특성에 미치는 효과 연구
- 교육연극을 적용한 또래관계 프로그램의 아동 간 상호작용 증진 효과
- 중복장애 학새의 교육과정 선택사항에 관한 고찰
- 일반학급에 통합된 척각장애아동에 대한 비장애아동들의 태도연구
- 초·중등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비교 연구
- 사회적 촉진이 정신지체 학생과 비장애 학생의 운동기능 수행에 미치는 영향
- 대학에서 특수교육론을 수강한 초임 일반초등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자질의 유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