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학습 참여의 관계: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Engagement: The Mediating Effect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 발행기관
- 한국창의인성학회
- 저자명
- 김준성(Jun-Seong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과 문화』제7권 제1호, 5~1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이 학습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교수-학생 상호작용 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에 소재한 B 대학의 대학생 34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SPSS 25.0과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주도학습은 학습 참여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며, 교수-학 생 상호작용이 이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주도적 학습 태 도를 가진 학생일수록 교수와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더 활발히 경험하며, 이러한 상호작용이 학습 참여를 촉진하는 기제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와 학생 간의 상 호작용을 활성화하는 교수 전략을 개발하고,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 그램을 마련할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on academic engagement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o investigate whether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serves as a mediator in this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49 students from B University in Busan,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the PROCESS Macro. The results revealed that self-directed learning significantly predicted academic engagement,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partially mediated this relationshi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self-directed learning are more likely to develop constructive interactions with professors, which in turn foster their academic engage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fostering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through effective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implementing programs to strengthen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ies. The study also discusses its limitations and offers specific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과 문화 제7권 제1호 목차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그릿과 놀이지원역량 관계에서 행복플로리시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학습 참여의 관계: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중국 고등 미술교육에서 협동적 비평 교수법 적용의 효과 연구
- 부산지역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 『가재가 노래하는 곳』 OSMU(One-Source-Multi-Use)를 통해 살펴본 유아교육적 배움의 의미
-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학업소진과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상담전공 대학생을 위한 액션러닝 기반 진로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다시-돌아가기를 통해 영유아교육평가의 두터운-지금 탐구하기
- 교사학습공동체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한 유아교육과정평가 경험의 실천적 변화 양상 연구
- 중국유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문화적응스트레스의 관계: 상호문화감수성의 매개역할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