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적 촉진이 정신지체 학생과 비장애 학생의 운동기능 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n Social Facilitation for Motor Skill Performance of Mentally Retarded Students and Non-Disabled Students(Elementary) in Special School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성철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8권 제2호, 39~5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운동기능 수행과 관련된 사회심리학적 연구로 특수학교 초등부 정신지체학생과 비장애학생의 타인의 존재에 대한 정․부적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었다. 첫째, 정확투과제 수행에서 정신지체학생은 타인의 수가 적을 때, 타인의 거리가 멀 때, 타인의 성이 동성일 때에 더 높은 수행수준을 보였으며, 비장애 학생은 타인의 수가 적을 때, 타인의 거리가 가까울 때, 타인의 성이 동성일 때에 더 높은 수행수준을 보였다. 둘째, 평형성과제 수행에서는 정신지체 학생과 비장애 학생 모두 타인의 수가 적을 때, 타인의 거리가 멀 때, 타인의 성이 동성일 때에 더 높은 수행수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전체적으로 교육현장에 조명해 볼 때, 초등부 정신지체 학생의 운동기능 수행 학습에 있어 사회적 촉진에 대한 부정적 요인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다 구체적인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an experimental research on social facilitation with the intention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esence of other persons on the motor skill performance of mentally retarded students and non-disabled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ising methods to minimize anxiety-causing factors that may occur in mentally retarded students when they perform motor skills. This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accurate throwing tasks, mentally retarded students(elementary) showed higher levels of performance when fewer other persons were present and at a further distance from the said persons and also if the other persons were of the same gender. In contrast, non-disabled students showed higher performance levels when other persons were closer to them. Secondly, in the balance tasks, mentally retarded students(elementary) presented higher levels of performance in the presence of fewer other persons who were at a further distance from them and of the same gender. In contrast, non-disabled students showed higher performance levels when other persons were closer to them. Thus, social facilitation of mentally retarded student was adversely affected when they had higher levels of consciousness toward other persons. Younger chronological ages are shown to be more adversely affected by the presence of other persons. In conclusion, a more practically integrated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and implemented to minimize the adverse effect of social facilitation experienced in motor skill performance by mentally retarded students. In addition, more consideration should be taken of the number of other persons present, the distances between them and the gender in designing internal and external class learning activities for mentally retarded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의미구조 중심의 이야기구성도 작성 훈련이 읽기 학습장애아동의 독해력, 읽기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 특수하급 교사의 읽기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시각장애학생의 수학학습 기피성향 분서
-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 협력교수 실행에 관한 협력교사들의 인식 분석
- 특수교사의 자기장학 수행수준과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 자아개념 증진 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학습태도와 사회성 향사에 미치는 효과
- 특수교육 보조원제 운영에 대한 만족도 조사
- 통합 학급운영에 필요한 교사지원 유형에 관한 고찰
- 모 애착강화 및 정서지원 프로그램이 반응성애착장애 아동의 발달 및 특성에 미치는 효과 연구
- 교육연극을 적용한 또래관계 프로그램의 아동 간 상호작용 증진 효과
- 중복장애 학새의 교육과정 선택사항에 관한 고찰
- 일반학급에 통합된 척각장애아동에 대한 비장애아동들의 태도연구
- 초·중등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비교 연구
- 사회적 촉진이 정신지체 학생과 비장애 학생의 운동기능 수행에 미치는 영향
- 대학에서 특수교육론을 수강한 초임 일반초등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자질의 유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