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육 보조원제 운영에 대한 만족도 조사
이용수 0
- 영문명
- A Survey of Satisfaction with the Management of Paraprofessional System in Speci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공임연 최성규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8권 제2호, 57~7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특수교육 보조원 제도는 통합교육의 효율적 운용을 위한 지원방안으로 이해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보조원제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 일반교사, 장애학생 학부모 그리고 특수교육 보조원의 인식과 만족도를 조사하고 특수교육 보조원제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부산 지역의 특수학급이 설치된 초등학교 중 국가보조에 의해 특수교육 보조원제를 운영하고 있는 학교의 특수교사 60명과 통합학급 교사 59명, 장애학생 학부모 65명, 그리고 특수교육 보조원 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지는 선행연구 등을 참고하여 특수교육 보조원제 운영지침에 대한 13문항과 특수교육 보조원 운영에 대한 21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크론바하 알파 신뢰도는 .825 이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 보조원제 운영지침, 특수교육 보조원제 운영, 그리고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있어서 집단간 인식차이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특수교사, 일반교사, 장애학생 학부모 그리고 특수교육 보조원간의 정기적인 협의를 통해 각 집단간의 의견 차이를 좁히고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요구되고 있음을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survey perception on and satisfaction with the management of paraprofessional system in special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teachers, general education teachers,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araprofessional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paraprofessional system in special education. Using a questionnaire prepared with reference of th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paraprofessional system in special education,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elementary schools in Busan that had special classes and were utilizing paraprofessional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 governmental support. Participants who replied to the questionnaire were 60 special education teachers, 59 general education teachers of inclusive class, 52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65 paraprofessional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o a total of 236 peopl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questionnaires,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perception on the management of paraprofessional system in special education as well as in satisfaction with the management among the four groups. Problems mention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general education teachers,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araprofessional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also different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suggest that,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advertise the paraprofessional system in special education, develop relevant training programs, prepare detailed and specific management guidelines, and hold meetings to discuss relevant issu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의미구조 중심의 이야기구성도 작성 훈련이 읽기 학습장애아동의 독해력, 읽기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 특수하급 교사의 읽기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시각장애학생의 수학학습 기피성향 분서
-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 협력교수 실행에 관한 협력교사들의 인식 분석
- 특수교사의 자기장학 수행수준과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 자아개념 증진 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학습태도와 사회성 향사에 미치는 효과
- 특수교육 보조원제 운영에 대한 만족도 조사
- 통합 학급운영에 필요한 교사지원 유형에 관한 고찰
- 모 애착강화 및 정서지원 프로그램이 반응성애착장애 아동의 발달 및 특성에 미치는 효과 연구
- 교육연극을 적용한 또래관계 프로그램의 아동 간 상호작용 증진 효과
- 중복장애 학새의 교육과정 선택사항에 관한 고찰
- 일반학급에 통합된 척각장애아동에 대한 비장애아동들의 태도연구
- 초·중등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비교 연구
- 사회적 촉진이 정신지체 학생과 비장애 학생의 운동기능 수행에 미치는 영향
- 대학에서 특수교육론을 수강한 초임 일반초등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자질의 유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