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DHD아동의 신경심리적 인지 특성
이용수 0
- 영문명
- Neuropsychological Recognition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송찬원 김하경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1권 제3호, 391~41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ADHD아동의 신경심리적 인지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ADHD아동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의 인지요인과 실행기능을 비교하였다. 일반학교에 재학 중인 4-6학년 ADHD아동과 일반아동 각 30명을 대상으로 신경심리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는 ‘K-WISC-Ⅲ 지능검사’와 ‘아동용 Rey-Kim 기억 검사’,‘아동용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이다. 연구결과 ADHD아동들은 인지요인에 있어서 일반아동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은 점수를 얻었으며, 그 중 언어이해와 지각조직 요인은 일반아동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에 반해 주의집중과 기억, 처리속도 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그 중 가장 큰 차이를 보인 것은 주의집중 요인으로 나타났다. 인지요인별 상관을 알아본 결과 일반아동 집단에서는 기억과 주의집중, 지각조직, 처리속도 요인 간에는 상관이 없었고, 나머지 요인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ADHD아동 집단에서는 주의집중과 지각조직, 지각조직과 기억, 처리속도, 처리속도와 지각조직 요인간에는 상관이 없었고, 나머지 요인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실행기능을 비교해 본 결과 ADHD아동들은 일반아동에 비해 실행지능이 낮았으며, 실행기능들 중에서 ‘스트룹 검사’ 기능이 가장 낮았다. 질적 점수에서는 스트룹 검사의 ‘간섭억제지표’와 도안 유창성 검사의 ‘상식 일치도’및 ‘빠진 곳 찾기 일치도’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ADHD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주의집중, 지각조직과 기억, 처리속도에서의 수행력이 낮아서 제시된 외부의 단서나 정보에 대한 주의력이 낮고, 작업기억과 조직 능력, 방해자극에 대한 반응억제와 정보처리능력이 낮음을 알 수 있다. 결국 ADHD아동들의 이러한 실행기능 특성을 고려한 다양하고 흥미있는 중재 방법과 교수 전략을 구안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find the neur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by comparing the cognitive factor and executive function between a group of children with ADHD and the other group of non ADHD(n-ADHD). Neuropsychological examination was carried out on 30 children each from the group of ADHD and n-ADHD in their fourth to sixth grade in public schools. The examination method used in the study is ‘K-WISC-Ⅲ Intelligence Test', ‘Rey-Kim Memory Test for children', and ‘Kim's Frontal-Executive Function Test for children'. The study result shows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ognitive factor of ADHD compared with n-ADHD. Among the factors, the level of VCI was the highest, and that for FDI was the lowe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of n-ADHD,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MQ and FDI, POI, and PSI,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correlations between the rest of the factors. In the group of ADHD,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FDI and POI, POI and MQ, PSI, POI and PSI.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correlations between the rest of the factors. Moreover, ADHD showed lower levels of EIQ, among which the quantitative score for ‘stroop test' variable was the lowest, while ‘withdrawal effectiveness’ and ‘design fluency' followed next. Regarding the qualitative score, ‘accordance rate of finding missing spots' and index for ‘restraining repetition' of the test for design fluency showed low scores, along with index for ‘interference inhibition' of the test for stroop. These results imply that ADHD have low levels of FDI capability related to deficit of attention, low levels of EIQ, and less capacity to response inhibition, or to working memory what they know compared to n-ADHD. The above results will be of important information in establishing educ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that consider the recognition characteristics of ADHD, and in inputting arbitration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타악기를 이용한 즉흥연주가 자폐성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ADHD아동의 신경심리적 인지 특성
-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와 공익근무요원의 인식비교
- 또래교수가 중학교 정신지체 학생의 읽기 유창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통합학급교사의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수정 실태 및 요구
-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중재-반응(RTI) 접근법의 적용 가능성
- 특수교육연구에 있어 베이지안 통계 분석법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 다운증후군 아동 얼굴성형수술에 대한 교사의 견해 조사
- 장애유아 형제지원프로그램 실시현황 및 가족의 요구
-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발달지체아동의 마음이론에 미치는 효과
- 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과 협력활동에 대한 태도 및 자질에 대한 연구
-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대안평가 개발의 필요성과 인지 복잡성(Cognitive Complexity) 개념이 주는 시사점
- 장애 유아의 초등학교 전이 기술에 대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 수준 비교
- Paper-Based Assessment vs. Computer-Based Assessment: Comparing Students’ Observed Stress Behaviors
- 통합교육환경에서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긍정적인 행동지원의 현황
- 초등특수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비교
- 가족의사소통과 가족적응이 언어장애아동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 K-ABC를 활용한 지적장애학생의 인지처리과정 분석
- 난화 상호 이야기법을 활용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이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언어능력과 사회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 중재반응 모형의 학교현장 적용을 위한 교사 및 예비교사 교육의 내용과 방향 탐색
-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교과서 만족도 및 요구분석 연구
- 아동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음운인식능력의 차이에 대한 연구
- 특수학급교사와의 협력을 통한 교사포트폴리오 제작이 통합학급교사의 교수수행능력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