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교과서 만족도 및 요구분석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Research on the Satisfaction and Need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according to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School revised in 2008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정인숙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1권 제3호, 255~27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개정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2008년 개발된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교과서에 대한 현장 특수학교 교사들의 만족도와 관련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특수학교 국어과 교과서의 질적 평가 및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11개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103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국어과 교과서 만족도 및 요구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인 구성 측면에서는 단원별, 수준별, 교과간의 연계성 및 계열성을 비롯한 적절성, 삽화․사진 구성 등이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용 측면에서 수준의 적절성을 비롯한 학습자의 참여나 체험 활동 유도, 단계별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내용이 적절하게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삽화 ․사진 및 활동자료 구성 측면에서 적절하게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과서 활용 및 보급 측면에서 활용 비중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 능력과 좀 더 일치하는 교과서 개발 방안 모색이 필요하며, 개인별 교과서 보급 근거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개선방향 측면에서는 현행 Ⅲ단계 체제로 구성된 교과서의 체제 개선 뿐 만 아니라 부족한 교과서 내용의 보충을 위한 보완교과서 개발, 영역별 개발(읽기, 말하기․듣기, 쓰기)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and needs of special school teachers o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which developed in 2008 according to the new special school curriculum and to execute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m and to develop the improvement plan. To accomplish this research, we practice the questionaries about the satisfaction and need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to 103 special school teachers who work in the special schools in all different region. The result of survey is as following. First of all, the general organization such as the chapter, the level, the connection between curriculum is very good. Second, as in the contents, it contains the participation, activities encourage, step-by-step reading, speaking․listening, writing for learners and Adequacy of level, so it was good. Third, the illustration, the picture, and the activity materials in the text book was well-arranged. Forth, an aspect of the application and popularities, it needed to be more adjusted with the student abilities, and a supplying individual text book preparation is a urgent matter. Fifth, an aspect of improvement, existing textbooks which organized with 3 levels needed to be reorganized, developing supplement textbooks in various areas a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타악기를 이용한 즉흥연주가 자폐성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ADHD아동의 신경심리적 인지 특성
-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와 공익근무요원의 인식비교
- 또래교수가 중학교 정신지체 학생의 읽기 유창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통합학급교사의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수정 실태 및 요구
-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중재-반응(RTI) 접근법의 적용 가능성
- 특수교육연구에 있어 베이지안 통계 분석법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 다운증후군 아동 얼굴성형수술에 대한 교사의 견해 조사
- 장애유아 형제지원프로그램 실시현황 및 가족의 요구
-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발달지체아동의 마음이론에 미치는 효과
- 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과 협력활동에 대한 태도 및 자질에 대한 연구
-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대안평가 개발의 필요성과 인지 복잡성(Cognitive Complexity) 개념이 주는 시사점
- 장애 유아의 초등학교 전이 기술에 대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 수준 비교
- Paper-Based Assessment vs. Computer-Based Assessment: Comparing Students’ Observed Stress Behaviors
- 통합교육환경에서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긍정적인 행동지원의 현황
- 초등특수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비교
- 가족의사소통과 가족적응이 언어장애아동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 K-ABC를 활용한 지적장애학생의 인지처리과정 분석
- 난화 상호 이야기법을 활용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이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언어능력과 사회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 중재반응 모형의 학교현장 적용을 위한 교사 및 예비교사 교육의 내용과 방향 탐색
-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교과서 만족도 및 요구분석 연구
- 아동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음운인식능력의 차이에 대한 연구
- 특수학급교사와의 협력을 통한 교사포트폴리오 제작이 통합학급교사의 교수수행능력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