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운증후군 아동 얼굴성형수술에 대한 교사의 견해 조사
이용수 0
- 영문명
- Teachers' opinions about facial plastic surgery for students with Down syndrome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요섭 박소영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1권 제3호, 357~37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운증후군 자녀를 둔 부모들에게 얼굴성형수술에 대한 상담이나 자문을 하는 위치에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다운증후군 아동의 얼굴성형수술을 권유하는지의 여부와 각각의 이유에 대한 견해를 조사하였다.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등 총 26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한 결과를 보면, 다운증후군 아동의 얼굴성형수술을 권유하는 교사와 그렇지 않는 교사의 비율은 각각 65.4%와 34.6%로 나타났다. 얼굴성형수술을 권유하는 교사들이 든 이유를 순위별로 보면, 신체적 기능향상, 수술 후 자신감 향상, 다운인의 얼굴 특징 감소, 그리고 사회적 수용이나 통합을 위해서의 순서로 나타났다. 얼굴성형수술을 권유하는 교사들이 수술을 결정할 때 고려할 사항으로 제시한 것을 보면, 실용적 측면이 가장 앞섰으며, 윤리적 측면, 당사자주의 측면, 의학적 측면, 사회통합적 측면이 뒤를 이었다. 반면에 얼굴성형수술을 권유하지 않는 교사들이 제시한 이유를 보면, 다운인을 있는 모습 그대로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라는 견해를 가장 많이 지지하였으며, 부모의 필요를 만족시키기 위한 가능성이나, 사람들이 다운인에 대해 잘못된 기대를 할 염려, 수술 시 겪을 고통, 다운인 자신의 정체성혼란 문제, 수술 자체가 학대행위일 수 있다는 견해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Facial plastic surgery has been known as an intervention to improve the physical functioning, appearances, and social acceptance of individuals with Down syndrome. Our purpose in this study was to examine teachers' opinions about facial plastic surgery for children with Down syndrome. Two hundred sixty-six teachers working in inclusive classes, special classes, and special schools responded with usable survey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65.4% of teachers supported the facial plastic surgery and 34.6% of them did not. Major reasons reported by the teachers who supported the surgery were 'to improve speech, breathing, or eating,' 'to improve confidence,' 'to improve physical appearances,' and, 'to facilitate social acceptance'. When asked what parents should consider before making a decision on the surgery, teachers supporting the surgery suggested functional aspect, first, and ethical aspect, child's concern aspect, medical aspect, and social acceptance aspect, followed in order. The reasons given by the teachers who would not support the surgery were 'acceptance of child with Down syndrome as he or she is,' 'possibility to satisfy parents' own needs or interests,' 'worries about people's unrealistic expectations,' 'worries about child's discomfort or pain from the surgery,' 'issue of child's identity confusion', and 'possibility of child abuse.' Discussions about the reasons given by the teachers who would or would not support the surgery were provided, too.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타악기를 이용한 즉흥연주가 자폐성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ADHD아동의 신경심리적 인지 특성
-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와 공익근무요원의 인식비교
- 또래교수가 중학교 정신지체 학생의 읽기 유창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통합학급교사의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수정 실태 및 요구
-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중재-반응(RTI) 접근법의 적용 가능성
- 특수교육연구에 있어 베이지안 통계 분석법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 다운증후군 아동 얼굴성형수술에 대한 교사의 견해 조사
- 장애유아 형제지원프로그램 실시현황 및 가족의 요구
-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발달지체아동의 마음이론에 미치는 효과
- 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과 협력활동에 대한 태도 및 자질에 대한 연구
-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대안평가 개발의 필요성과 인지 복잡성(Cognitive Complexity) 개념이 주는 시사점
- 장애 유아의 초등학교 전이 기술에 대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 수준 비교
- Paper-Based Assessment vs. Computer-Based Assessment: Comparing Students’ Observed Stress Behaviors
- 통합교육환경에서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긍정적인 행동지원의 현황
- 초등특수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비교
- 가족의사소통과 가족적응이 언어장애아동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 K-ABC를 활용한 지적장애학생의 인지처리과정 분석
- 난화 상호 이야기법을 활용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이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언어능력과 사회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 중재반응 모형의 학교현장 적용을 위한 교사 및 예비교사 교육의 내용과 방향 탐색
-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교과서 만족도 및 요구분석 연구
- 아동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음운인식능력의 차이에 대한 연구
- 특수학급교사와의 협력을 통한 교사포트폴리오 제작이 통합학급교사의 교수수행능력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