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대안평가 개발의 필요성과 인지 복잡성(Cognitive Complexity) 개념이 주는 시사점
이용수 0
- 영문명
- The Need for Developing Alternate Assessm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Implication of Cognitive Complexity in Designing Alternate Assessment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정은주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1권 제3호, 237~25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육과학기술부는 그동안 국가수준의 대규모 학력평가에서 배제되어 왔던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학습권과 동등한 평가참여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특수교육대상학생 학력평가제 및 평가조정제도입’을 포함한 제 3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08∼12’)에 발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특수교육대상학생 학력평가제 및 평가조정제도’를 개관하고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또한 지속적 학업문제를 가진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학력평가를 위한 대안평가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대안평가 개발을 위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평가문항 또는 검사의 인지 복잡성의 개념을 논의하였다. 이를 토대로 인지 복잡성이 지속적 학업문제를 가진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국가수준의 대규모 대안평가 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nounced the Third Five-Year Plan for the Special Education Reform including 'the implementation of academic assessm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esting accommodations'. This plan is intended to guarantee the educational righ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rovide them the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ng in large-scale assessment systems. This paper reviews and discusses the nature and issues of 'the implementation of academic assessm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esting accommodation.' In addition, this paper supports the importance of creating alternate assessment for students with persistent learning problems included in general education system. Finally, the concept and the implication of cognitive complexity in designing alternate assessment for students with persistent learning problems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특수교육대상 학력평가제 및 평가조정제 추진계획의 문제점
Ⅲ. 인지 복잡성(Cognitive Complexity)의 개념과 시사점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타악기를 이용한 즉흥연주가 자폐성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ADHD아동의 신경심리적 인지 특성
-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와 공익근무요원의 인식비교
- 또래교수가 중학교 정신지체 학생의 읽기 유창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통합학급교사의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수정 실태 및 요구
-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중재-반응(RTI) 접근법의 적용 가능성
- 특수교육연구에 있어 베이지안 통계 분석법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 다운증후군 아동 얼굴성형수술에 대한 교사의 견해 조사
- 장애유아 형제지원프로그램 실시현황 및 가족의 요구
-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발달지체아동의 마음이론에 미치는 효과
- 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과 협력활동에 대한 태도 및 자질에 대한 연구
-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대안평가 개발의 필요성과 인지 복잡성(Cognitive Complexity) 개념이 주는 시사점
- 장애 유아의 초등학교 전이 기술에 대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 수준 비교
- Paper-Based Assessment vs. Computer-Based Assessment: Comparing Students’ Observed Stress Behaviors
- 통합교육환경에서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긍정적인 행동지원의 현황
- 초등특수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비교
- 가족의사소통과 가족적응이 언어장애아동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 K-ABC를 활용한 지적장애학생의 인지처리과정 분석
- 난화 상호 이야기법을 활용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이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언어능력과 사회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 중재반응 모형의 학교현장 적용을 위한 교사 및 예비교사 교육의 내용과 방향 탐색
-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교과서 만족도 및 요구분석 연구
- 아동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음운인식능력의 차이에 대한 연구
- 특수학급교사와의 협력을 통한 교사포트폴리오 제작이 통합학급교사의 교수수행능력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