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중재-반응(RTI) 접근법의 적용 가능성

이용수  0

영문명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RTI in Korea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이대식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1권 제3호, 221~23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9.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RTI 접근법의 각 내용 요소에 대해 초등학교 일반 및 특수교사들의 인식과 견해를 조사하여 국내에서의 RTI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와 인천지역 70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현재 근무하고 있는 학교에서 RTI 주요 요소별로 어느 정도나 적용 가능하다고 보는지, 그리고 만약 적용 가능성이 낮다고 생각한다면 그에 대한 가장 큰 걸림돌은 무엇인지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RTI 접근법의 핵심요소라 할 수 있는 증거-기반 효과적인 중재와 학습진전도 점검 측면 모두에서 교사들은 RTI 적용가능성이 별로 높지 않다고 보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이 주요 걸림돌로 지적한 사항들은 시간부족, 업무부담, 관련 자료나 도구 및 프로그램 부족, 전문성 부족, 지원 체제나 여건 미흡 등 단기간의 소규모 정책으로는 개선되기 어려운 사항들이 대부분이었다. 셋째, 각 교수방법별 적용 자신감과 관련해서는 비교적 높은 정도의 적용 자신감을 보였지만, 구체적인 읽기 지도방법이나 협력수업 방법에 대해서는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거나 지도 경험이 없어서였는지 상대적으로 낮은 적용자신감을 보였다. 넷째, 각 교수방법별 적용 핵심 요건으로는 70% 이상의 교사들이 외적 여건보다는 자신의 전문성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국내에서 RTI 적용하고자 할 때 관련 연구와 교사 훈련이 많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a RTI model in Korea by survey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major aspects of RTI. A total 70 teachers from Gyeonggi and Inchon provinces rated and indicated the possibility of and expected obstacles to implementing some important parts of RTI approaches in their schools.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the teachers rated relatively as low the possibility in the areas of implementing effective interventions and progress monitoring. Second, the teachers reported several obstacles including the lack of time, materials and tools, and professionality, the burden of various administrative works, and insufficient supporting system and environments. Third, although teachers were somewhat confident with the presented intervention methods overall, their confidence was sharply decreased with specific remedial or intervention methods such as teaching phonemic awareness, a writing strategy, and co-teaching. The findings imply that nation-wide research and large-scale teacher training are necessary in advance of actual implementation of any RTI approach in Korea.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대식. (2009).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중재-반응(RTI) 접근법의 적용 가능성. 특수아동교육연구, 11 (3), 221-235

MLA

이대식.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중재-반응(RTI) 접근법의 적용 가능성." 특수아동교육연구, 11.3(2009): 221-2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