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K-ABC를 활용한 지적장애학생의 인지처리과정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Cognitive Processing Analysis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using by K-ABC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영미 박재국 김혜리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1권 제3호, 463~48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K-ABC를 활용하여 지적장애학생의 인지처리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지적장애학생의 인지처리양식에 따른 교육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부산 지역 특수학급과 특수학교에 입급되어 있는 지적장애학생((N=58) 표본을 대상으로 K-ABC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된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지적장애학생은 순차처리양식보다 동시처리양식을 보다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하위영역 중에서는 동시처리과정의 ‘그림통합’, ‘시각유추’, 순차처리과정의 ‘단어배열’순으로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적장애학생은 지각적 조직력, 시각적 조직화, 추상화 능력, 청각-시각 통합력 및 청각-운동 기억력 등이 다른 영역보다 발달되어 있음을 의미함과 동시에 이들에게 자극 및 학습자료를 제시함에 있어 전체에서 부분으로, 그리고 시각적이고 공간적이며, 운동적 단서로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둘째, 지적장애학생 중 경도 장애학생 간에는 순차처리양식과 동시처리양식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중등도 장애학생의 경우에는 순차처리양식보다 동시처리양식을 보다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지능력이 낮을수록 그들을 지도함에 있어 개인의 인지처리과정을 먼저 파악하는 것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며, 그들이 선호하는 인지처리양식을 중심으로 자조기술이나 일상생활기술 등을 교수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 셋째, 지적장애학생 중 여학생의 경우 순차처리양식보다는 동시처리양식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나, 남녀 간 전체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 하위영역은 ‘그림통합’과 ‘시각유추’ 순이었으나, ‘단어배열’과 ‘사진순서’ 영역의 경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청각-시각 통합력, 청각-운동 기억력, 그리고 인과관계에 대한 이해력, 시차적 관계파악 능력 등이 뛰어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상과 같은 성별차이의 원인에 대한 연구는 일반학생의 성별차이를 바탕으로 한 추후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a educational program, analyzing cognitive processing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order to do this, we conducted a study with 58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wo schools for special education and five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in five public schools in Pusan, using by K-ABC.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used sequential processing style more often than simultaneous processing style in this study. In sub-scales of K-ABC, they got the highest score in Gestalt Closure(simultaneous processing scale), and Pattern Reasoning(simultaneous processing scale) and Number recall(sequential processing) were following. This result shows that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perceptual organization skill, visual organization skill, abstract reasoning, auditory-visual integration and auditory-motor memory. Also it reflects that it is effective to present educational materials from the whole to the part, or in visual, spatial, and motional dimension.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sequential processing scale and simultaneous processing scale in children with mild disabilities in this study. However, children with moderate disabilities in this study used simultaneous processing style more often than sequential processing style. This result shows that the lower intellectual abilities children have, the better understanding of each individuals' cognitive processing should be preceded. And teaching self-help skills or daily living skills, based on their cognitive processing style, might be effective for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rd, in terms of sex difference, girls used simultaneous processing style more often than sequential processing style in this stud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Both got high scores in Gestalt Closure and Pattern Reasoning, but in Word Order and Arrangement of pictures in meaningful order boys showed higher scores than girls. According to this result, we can assume that boys might have better abilities in auditory-visual integration, auditory-motor memory, and comprehension to causality than girls, but more research in sex differences on normal children as well as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uld be conducted for supporting this resul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타악기를 이용한 즉흥연주가 자폐성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ADHD아동의 신경심리적 인지 특성
-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와 공익근무요원의 인식비교
- 또래교수가 중학교 정신지체 학생의 읽기 유창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통합학급교사의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수정 실태 및 요구
-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중재-반응(RTI) 접근법의 적용 가능성
- 특수교육연구에 있어 베이지안 통계 분석법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 다운증후군 아동 얼굴성형수술에 대한 교사의 견해 조사
- 장애유아 형제지원프로그램 실시현황 및 가족의 요구
-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발달지체아동의 마음이론에 미치는 효과
- 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과 협력활동에 대한 태도 및 자질에 대한 연구
-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대안평가 개발의 필요성과 인지 복잡성(Cognitive Complexity) 개념이 주는 시사점
- 장애 유아의 초등학교 전이 기술에 대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 수준 비교
- Paper-Based Assessment vs. Computer-Based Assessment: Comparing Students’ Observed Stress Behaviors
- 통합교육환경에서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긍정적인 행동지원의 현황
- 초등특수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비교
- 가족의사소통과 가족적응이 언어장애아동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 K-ABC를 활용한 지적장애학생의 인지처리과정 분석
- 난화 상호 이야기법을 활용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이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언어능력과 사회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 중재반응 모형의 학교현장 적용을 위한 교사 및 예비교사 교육의 내용과 방향 탐색
-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교과서 만족도 및 요구분석 연구
- 아동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음운인식능력의 차이에 대한 연구
- 특수학급교사와의 협력을 통한 교사포트폴리오 제작이 통합학급교사의 교수수행능력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