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재반응 모형의 학교현장 적용을 위한 교사 및 예비교사 교육의 내용과 방향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Teacher and Preservice Teacher Training for the Successful Introduction of RTI Model to School Setting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허유성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1권 제3호, 413~43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RTI를 통해 학습장애 학생의 학교실패를 조기에 방지하고 아동의 학업문제에 있어서 비효과적인 교수의 영향을 제거함으로써 아동의 정상적인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시도가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 분석을 통해 RTI의 성공적인 학교현장 도입을 위한 교사 및 예비교사 교육의 내용, 방법, 방향에 대한 함의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성공적으로 RTI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선결과제들이 충족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선결과제는 교사들의 역량이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 그러나 교사들이 무슨 역량을 갖추어야 하며, 이를 위해 교원양성기관 및 관련 연구기관에서는 무엇을 준비해야하는가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결과를 보면, 교사들이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으로 RTI 수행 주체들 간의 지식과 신념의 공유, 과학적으로 검증된 교수법 수행, 지속적인 진전도 모니터링과 교수적 의사결정, 팀을 통합 협동적 문제해결, 학습장애아 부모와의 협업, RTI 수행에 대한 교사를 포함한 학교단위의 자기평가 역량이 도출되었으며, 교원양성기관 및 연구기관의 핵심과제로 예비교사를 위한 RTI 교육과정 구성, RTI 모형의 표준화와 확산, RTI 팀의 전문성 개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explore the anticipated competencies and specific skills that teachers should acquire to implement RTI effectively in school settings. Currently, RTI i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in special education, in particular in the area of LD. However, many researchers concerned about teachers' preparation for RTI in school setting. Previous studies on RTI indicated that teachers should be able to provide evidence-based practices, differentiated instruc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ntinuous progress monitoring, and timely identification of nonresponsive students. In particular,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are expected to provide individualized, more intensive instruction for nonresponsive students with the collaboration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school psychology, and other school personnel. However, there were limited studies that comprehensively explored teachers' competencies for successful RTI implementation. Therefore, firstly, this study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eacher education for successful RTI implementation. Second, this study identified 6 critical competencies for teachers. The six competencies included (a) the shared knowledge and beliefs among related peoples, (b) implementation of scientifically-based practices, (c) progress monitoring and decision making, (d) collaboration and team works, (e) collaboration with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 school-based self-evaluation. In addition, this study discussed the tasks of teacher training institutes and related research institutes to induct RTI successfully to school setting including re-designing curriculum, disseminating RTI model, and provid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RTI team.
목차
Ⅰ. 서론
Ⅱ. 문헌 조사 과정
Ⅲ. 학습장애 아동의 판별 및 교육을 위한 RTI 모형 도입배경과 주요 논쟁점
Ⅳ. RTI의 학교현장 적용을 위한 교사 교육의 중요성과 교사가 갖추어야 할 핵심 역량
Ⅴ. RTI 모형의 학교현장 적용을 위한 교원양성 및 연구기관의 역할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타악기를 이용한 즉흥연주가 자폐성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ADHD아동의 신경심리적 인지 특성
-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와 공익근무요원의 인식비교
- 또래교수가 중학교 정신지체 학생의 읽기 유창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통합학급교사의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수정 실태 및 요구
-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중재-반응(RTI) 접근법의 적용 가능성
- 특수교육연구에 있어 베이지안 통계 분석법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 다운증후군 아동 얼굴성형수술에 대한 교사의 견해 조사
- 장애유아 형제지원프로그램 실시현황 및 가족의 요구
-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발달지체아동의 마음이론에 미치는 효과
- 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과 협력활동에 대한 태도 및 자질에 대한 연구
-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대안평가 개발의 필요성과 인지 복잡성(Cognitive Complexity) 개념이 주는 시사점
- 장애 유아의 초등학교 전이 기술에 대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 수준 비교
- Paper-Based Assessment vs. Computer-Based Assessment: Comparing Students’ Observed Stress Behaviors
- 통합교육환경에서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긍정적인 행동지원의 현황
- 초등특수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비교
- 가족의사소통과 가족적응이 언어장애아동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 K-ABC를 활용한 지적장애학생의 인지처리과정 분석
- 난화 상호 이야기법을 활용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이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언어능력과 사회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 중재반응 모형의 학교현장 적용을 위한 교사 및 예비교사 교육의 내용과 방향 탐색
-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교과서 만족도 및 요구분석 연구
- 아동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음운인식능력의 차이에 대한 연구
- 특수학급교사와의 협력을 통한 교사포트폴리오 제작이 통합학급교사의 교수수행능력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