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또래교수가 중학교 정신지체 학생의 읽기 유창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Peer Tutoring on Reading Fluency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Middle School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승훈 이태수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1권 제3호, 203~21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중등부 특수학급 정신지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또래교수가 읽기유창성 향상에 어떠한 효과를 주는지 파악하고, 정신지체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라 또래교수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특수학급에 재학하고 있는 정신지체 학생 2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이중 15명을 실험집단으로 10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아침 독서시간을 활용하여 주 3회의 또래교수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향상도와 진전률을 보였다. 또한 지능수준에 따른 또래교수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중등도정신지체 학생이 경도정신지체 학생에 비하여 높은 진전률을 나타내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볼 때, 또래교수는 정신지체 학생의 읽기유창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수법이었고, 중등도정신지체학생에게 지속적인 교육적 중재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peer tutoring on reading fluency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middle school. To do this, the samples were selected in two middle schools located in Nam Yang Ju city, Kyonggi Do, Korea.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ested by BASA, which is based on curriculum-based measurement. An experimental group made up of 15 students practiced 'repeat reading' and 'read aloud and read alone' with general students as a peer group for 20 minutes, 3 times a week. A control group practiced 'read aloud and read alone'.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led group were assessed 12 times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All collected data from reading assessments were analyzed by hierarchical linear model (HLM).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ly,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more significant development in reading fluency than the controlled group. This result said that the effect of tutoring on reading fluency depends on the intervention. Secondly, students with moderately mental retardation got a more progress in reading fluency than students with mildly mental retardation.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ly in statistics. To summarize the results, peer tutoring is appropriate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 to improve reading fluency and is recommended to practitioners as an appropriate intervention for underachieving students in read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타악기를 이용한 즉흥연주가 자폐성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ADHD아동의 신경심리적 인지 특성
-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와 공익근무요원의 인식비교
- 또래교수가 중학교 정신지체 학생의 읽기 유창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통합학급교사의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수정 실태 및 요구
-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중재-반응(RTI) 접근법의 적용 가능성
- 특수교육연구에 있어 베이지안 통계 분석법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 다운증후군 아동 얼굴성형수술에 대한 교사의 견해 조사
- 장애유아 형제지원프로그램 실시현황 및 가족의 요구
-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발달지체아동의 마음이론에 미치는 효과
- 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과 협력활동에 대한 태도 및 자질에 대한 연구
-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대안평가 개발의 필요성과 인지 복잡성(Cognitive Complexity) 개념이 주는 시사점
- 장애 유아의 초등학교 전이 기술에 대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 수준 비교
- Paper-Based Assessment vs. Computer-Based Assessment: Comparing Students’ Observed Stress Behaviors
- 통합교육환경에서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긍정적인 행동지원의 현황
- 초등특수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비교
- 가족의사소통과 가족적응이 언어장애아동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 K-ABC를 활용한 지적장애학생의 인지처리과정 분석
- 난화 상호 이야기법을 활용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이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언어능력과 사회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 중재반응 모형의 학교현장 적용을 위한 교사 및 예비교사 교육의 내용과 방향 탐색
-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교과서 만족도 및 요구분석 연구
- 아동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음운인식능력의 차이에 대한 연구
- 특수학급교사와의 협력을 통한 교사포트폴리오 제작이 통합학급교사의 교수수행능력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