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수화 사용 영어수업이 청각장애 초등부 아동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n English Teaching with American Sign Language to Increase Vocabulary for Hearing Impaired Children in the Elementary Level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성기록 최성규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3호, 389~40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미국수화를 사용한 영어수업이 청각장애학교 초등부 아동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양적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 아동은 모두 28명의 청각장애아동으로 실험집단 14명과 비교집단 14명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집단은 부산시와 대구시에 소재한 청각장애학교 초등부 4, 5, 6학년에 재학 중인 청각장애아동이다. 비교집단은 울산시와 충북 충주시에 소재한 청각장애학교 초등부 4, 5, 6학년에 재학 중인 청각장애아동이다. 연구 대상 참여 교사는 청각장애아동의 영어수업을 미국수화로 운영한 담임교사 6명으로 이 연구의 실험집단을 직접 지도한 담임교사들이다. 이 연구의 결론으로 미국수화를 사용한 영어수업이 청각장애학교 초등부 아동의 어휘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 영어 점수의 총점과 객관식 점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주관식 점수에서는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미국수화를 사용한 영어수업이 영어의 지문자 학습에 미치는 효과는 매우 크다. 특히 미국지화에 대한 교육효과는 시각적으로 영어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기억할 수 있는 전략과 관련되므로 청각장애아동을 위한 주요한 영어교육방법으로 이해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effects of English teaching with ASL to increase English vocabulary ability for hearing impaired children in the elementary school level. A total of 48 hearing impaired children who are 4th, 5th, and 6th grade in a special school participated for this study. An experimental group included 14 hearing impaired children in two special schools and the control group included 14 hearing impaired children from two different special schools. The six teachers learned the ASL and English teaching with ASL from a professor who knows and teaches ASL at a University. Pre- and post-test were utilized to illustrate the effects of the English teaching with AS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the English teaching with ASL was effective in increasing English vocabulary ability for hearing impaired children. English teaching with ASL gave the hearing impaired children motivation and self-efficacy.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English teaching with ASL for hearing impaired children was effective to increase English vocabulary ability, and the class teacher recognized that ASL is an excellent tool to teach English for hearing impaired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수화 사용 영어수업이 청각장애 초등부 아동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유아의 수업방해행동 및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육과정에 따른 직업교육의 체계 변천
-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가 자폐아동의 자발적 인사하기에 미치는 효과
- 특수 학교 기본교육과정의 과학교과서 내용의 오류 분석
- 청각장애 학생의 전화사용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 통합교육 담당교사의 자질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 비교
- 웹 활용 독서지도 프로그램이 발달장애학생의 읽기와 어휘력 및 학습흥미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생들의 ADHD성향과 학교유대성간의 관계분석
- 중학교 특수학급학생의 예체능교과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담당교사의 실태 및 인식
- 과학영재의 진로선택 어려움에 관한 질적연구
- 청각장애 학생의 교수-학습 전략 특성 연구
- 일반영아와 발달장애유아의 공동관심 행동 특성 비교연구
-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와 예비교사의 통합교육 준비도와 교수적 통합 실태 분석
- 일반학교 특수교육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의 협력적 역할과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
- 동극을 통한 다문화적 반편견 교육활동이 유아의 편견과 장애유아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연구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 Q방법을 통한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의 장애학생부모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 중학생의 휴대폰중독과 정서행동문제 및 관련변인과의 관계에 대한 조사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