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영아와 발달장애유아의 공동관심 행동 특성 비교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Joint Attention Behavior characteristic of Infant without disabilities and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박현주 전병운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3호, 325~35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발달연령이 9-24개월에 속하는 발달장애 유아 128명과 발달연령으로 일치된 일반영아 64명, 총 192명을 대상으로 성인-영아 간에 나타난 공동관심 행동을 분석하였다. 공동관심 하위 영역으로 응시하기(gaze monitoring), 가리키기(pointing), 주기(giving), 보여주기(showing) 등으로 범주화하여 분석·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장애유아의 공동관심 행동은 일반영아에 비해 그 빈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발달장애유아 집단 중에서도 자폐성 유아 집단이 정신지체유아 집단보다도‘공동관심’ 행동 빈도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신지체유아와 자폐성유아 집단의 ‘공동관심’행동은 그 빈도는 낮지만 일반영아 집단과 같이 월령의 증가에 따라 함께 증가하는 발달 양상을 보였다. ‘공동관심’은 유아 초기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출발점이며, 이후 발달 전반의 어려움에 대한 예후라는 점에서 발달장애 유아의 효과적인 조기중재 프로그램의 주요 요소가 될 수 있다. 이 연구는 발달장애 유아의 ‘공동관심’ 행동 특성에 대해 밝힘으로써 조기 평가 및 중재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한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joint attention characteristics between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nfant without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92 between 9-24month of age in three different group;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n=64), children with autism (n=64), and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n=64). The data was classified and analyzed regarding type of adult-infant joint attention behaviors (i.e.,gaze monitoring, pointing, giving, and showing).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wed significantly fewer joint attention behaviors than normal infants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nd children with autism’ joint attention was lower tha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int attention in this age level is beginning their social interaction which can be a major factor for determining of effective early interven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well as predicting future developmental delay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with this processing of determin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joint att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for decision making of early intervention and assess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수화 사용 영어수업이 청각장애 초등부 아동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유아의 수업방해행동 및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육과정에 따른 직업교육의 체계 변천
-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가 자폐아동의 자발적 인사하기에 미치는 효과
- 특수 학교 기본교육과정의 과학교과서 내용의 오류 분석
- 청각장애 학생의 전화사용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 통합교육 담당교사의 자질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 비교
- 웹 활용 독서지도 프로그램이 발달장애학생의 읽기와 어휘력 및 학습흥미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생들의 ADHD성향과 학교유대성간의 관계분석
- 중학교 특수학급학생의 예체능교과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담당교사의 실태 및 인식
- 과학영재의 진로선택 어려움에 관한 질적연구
- 청각장애 학생의 교수-학습 전략 특성 연구
- 일반영아와 발달장애유아의 공동관심 행동 특성 비교연구
-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와 예비교사의 통합교육 준비도와 교수적 통합 실태 분석
- 일반학교 특수교육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의 협력적 역할과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
- 동극을 통한 다문화적 반편견 교육활동이 유아의 편견과 장애유아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연구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 Q방법을 통한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의 장애학생부모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 중학생의 휴대폰중독과 정서행동문제 및 관련변인과의 관계에 대한 조사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