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학교 특수교육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의 협력적 역할과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
이용수 0
- 영문명
- Roles and Communication for effective Collaboration between Paraprofessional and Special Educators in Inclusive setting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박소영 이진숙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3호, 47~7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반학교의 특수교육교사 및 특수교육보조원들에게 협력적 역할과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협력적 역할과 의사소통에 관한 자기평가와 상대평가를 실시하였다. 특수교육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 총 9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첫째, 협력적 역할에서 특수교육보조원의 자기평가와 특수교육교사에 대한 상대 평가 및 특수교육교사의 자기평가와 특수교육보조원에 대한 상대평가가 긍정적이었다. 또한 협력적 역할에 대한 인식의 차이 검증 결과 특수교육교사는 두 가지 역할에서 자기평가가 긍정적이었으며 역할에 대한 상대평가에서 특수교육보조원은 다섯 가지 역할에서 특수교육교사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력적 의사소통에서 특수교육보조원의 자기평가와 특수교육교사에 대한 상대평가 및 특수교육교사의 자기평가와 특수교육보조원에 대한 상대평가가 긍정적이었다. 또한 협력적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의 차이 검증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서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그 동안의 법제화된 특수교육보조원제도의 실행과 특수교육보조원 교육 및 선행연구에 의한 인식변화를 통해 일반학교의 특수교육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과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반영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s and communication for effective collaboration between paraprofessionals and special educators in inclusive settings. 95 special educators and paraprofessiona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erceived roles and communication of paraprofessionals in implementation by special educator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for equality of means. Perceived roles and communication of special educators in implementation by turns.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First, self-rating and relative-rating of the roles for effective collaboration between paraprofessionals and special educators is affirmative. T-test for equality of means for Self-rating of the roles for Special educators in two roles is affirmative. T-test for equality of means for Relative-rating of the roles for Special educators in five roles is affirmative. Second, self-rating and relative-rating of communication for effective collaboration between paraprofessionals and special educators is affirmative. T-test for equality of means for self-rating and relative-rating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paraprofessionals and special educators is found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other words, the pace of the Roles and Communication`s appreciation is too steep, but the improved field's realization have been reflected in the gradual in-service training for paraprofessionals. This research has limit that it saw the specific area which is Seoul and Kyunggido, so next researches should be widen the scope of area and compare inclusive classroom with special schoo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수화 사용 영어수업이 청각장애 초등부 아동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유아의 수업방해행동 및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육과정에 따른 직업교육의 체계 변천
-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가 자폐아동의 자발적 인사하기에 미치는 효과
- 특수 학교 기본교육과정의 과학교과서 내용의 오류 분석
- 청각장애 학생의 전화사용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 통합교육 담당교사의 자질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 비교
- 웹 활용 독서지도 프로그램이 발달장애학생의 읽기와 어휘력 및 학습흥미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생들의 ADHD성향과 학교유대성간의 관계분석
- 중학교 특수학급학생의 예체능교과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담당교사의 실태 및 인식
- 과학영재의 진로선택 어려움에 관한 질적연구
- 청각장애 학생의 교수-학습 전략 특성 연구
- 일반영아와 발달장애유아의 공동관심 행동 특성 비교연구
-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와 예비교사의 통합교육 준비도와 교수적 통합 실태 분석
- 일반학교 특수교육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의 협력적 역할과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
- 동극을 통한 다문화적 반편견 교육활동이 유아의 편견과 장애유아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연구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 Q방법을 통한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의 장애학생부모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 중학생의 휴대폰중독과 정서행동문제 및 관련변인과의 관계에 대한 조사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