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각장애 학생의 전화사용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Survey on the Telephone Use of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이상희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3호, 27~4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9.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청각장애인이 가지고 있는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보청기와 인공와우 등의 발달로 다소 해결이 되었지만, 전화통화상의 어려움은 보청기와 인공와우를 착용하여도 아직 남아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 학생의 전화사용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S 청각장애 특수학교 청각장애 학생 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 학생 중 청력손실의 정도는 농 학생이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고, 청력손실 기간은 10년 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각장애 학생에게 나타나는 이명 현상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청각장애 학생의 전화통화 시 상대방의 말소리 변별은 상대방의 말소리가 어떤 소리인지 알 수 없다에 대한 응답비율이 가장 많았고, 주변이 시끄러운 곳에서 전화통화 시 상대방의 말소리 변별은 듣기가 아주어렵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청각장애 학생이 사용하는 전화기의 사용 실태를 살펴본 결과, 휴대전화 사용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청각장애 학생의 다소는 공중전화에서 상대방의 말소리가 듣기에 가장 어렵다고 하였다. 또한 청각장애 학생이 전화 통화 시, 전화기의 착용하고 있는 보청기의 전화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 전화통화를 하는 학생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청각장애 학생의 전화관련 보조기기 사용 실태를 살펴본 결과, 청각장애 학생 대부분이 전화기 및 보조기기에 대하여 모른다고 응답한 비율이 많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청각장애 학생 대부분이 농 또는 양이손상자의 경우에는 전화통화의 혜택을 마음껏 누릴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청각사와 청각전문가들은 보청기 처방 시 전화증폭기의 상담과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Hearing-impaired people's difficulties with communication has somewhat overcome with the development of a hearing aid and Cochlear implant but, their difficulties with making phone calls still remain even though those aids are used. Against this backdrop, a survey was conducted on 55 students of S school for the deaf to check deaf students' current conditions of phone use. The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First, in terms of their hearing ability, a large part of them were deaf, having had hearing impairment for more than ten years. Most of the students have experienced a ringing in the ears. Second, when it comes to how easily the students can understand the other person's voice over the phone, most of them said that they cannot understand what the other person is saying. Many of them said that it is difficult to hear the other person when they are making a call in a noisy place. Third, in terms of the type of the phones they use, most of them use a mobile phone. Some of them said it is the most difficult to hear the other person when they are using a public telephone. Large part of the surveyed students do not turn on the phone-call switch of their hearing aid when they make a phone call. Lastly, when it comes to wether the students make use of the telephone aids of special telephone products made for the deaf, most of them said that they are not aware of them.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completely deaf or with impairment in both ears, cannot make convenient use of a telephone. Noting this research result, audiologist should come up with professional consulting program in which they recommend telephone amplifier for a hearing and should design a systematic and constant aid programs for the deaf peopl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희. (2010).청각장애 학생의 전화사용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2 (3), 27-46

MLA

이상희. "청각장애 학생의 전화사용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2.3(2010): 27-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