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연구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the Reading Research Undertaken with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 Reading abilities and reading related factor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허민정 안성우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3호, 219~24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와우이식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읽기 연구 중 읽기 능력과 읽기 관련변인 연구를 분석하여 향후 읽기 연구의 방향 및 중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능력 및 읽기 관련 변인연구 27편을 연구의 일반적인 특성과 연구 주제별 결과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관련 연구의 일반적인 특성을 게재 연도, 연구대상, 읽기 하위영역, 검사도구, 연구방법별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능력은 보청기를 착용한 농아동에 비해서는 좋았고, 상당수의 아동이 또래 건청 아동의 정상범위 수준으로 읽기가 가능했으나 평균적으로 또래 건청 아동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읽기 능력에서 개인차는 매우 크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개인차를 설명하는 변인으로는 아동변인, 말소리 지각력, 구어능력, 음운처리능력이 주요 변인으로 연구되었다. 넷째,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연구에서 대상아동의 특성(연령, 수술 시기, 의사소통방식 등)에 대한 구분없이 하나의 집단으로 간주한 점, 단어 재인과 읽기 이해를 포괄적으로 다루지 못한 점, 단어 재인과 음운처리영역에 대한 적절한 평가도구가 부족한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for reading abilities and reading realted factors undertaken with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and to provide th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ntervention. Twenty-seven studies were identified and reviewed. These were devided in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ies, and the findings for reading abilities and reading related factors. As a result, reading abilities for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or deaf children with hearing aids. Although considerable proportion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showed reading performance within normal range, mean reading performance of these children was lower than that of normal hearing peers. And a wide range of individual differences of reading abilities were reported consistently. The factors related to reading abilities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were child characteristics, speech perception, oral language skills, and phonological processing skills. The selection of subjects considering a variety of child variables, comprehensive evaluation of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and the development of test tools for word recognition and phonological processing for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future stud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수화 사용 영어수업이 청각장애 초등부 아동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유아의 수업방해행동 및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육과정에 따른 직업교육의 체계 변천
-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가 자폐아동의 자발적 인사하기에 미치는 효과
- 특수 학교 기본교육과정의 과학교과서 내용의 오류 분석
- 청각장애 학생의 전화사용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 통합교육 담당교사의 자질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 비교
- 웹 활용 독서지도 프로그램이 발달장애학생의 읽기와 어휘력 및 학습흥미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생들의 ADHD성향과 학교유대성간의 관계분석
- 중학교 특수학급학생의 예체능교과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담당교사의 실태 및 인식
- 과학영재의 진로선택 어려움에 관한 질적연구
- 청각장애 학생의 교수-학습 전략 특성 연구
- 일반영아와 발달장애유아의 공동관심 행동 특성 비교연구
-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와 예비교사의 통합교육 준비도와 교수적 통합 실태 분석
- 일반학교 특수교육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의 협력적 역할과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
- 동극을 통한 다문화적 반편견 교육활동이 유아의 편견과 장애유아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연구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 Q방법을 통한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의 장애학생부모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 중학생의 휴대폰중독과 정서행동문제 및 관련변인과의 관계에 대한 조사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