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생의 휴대폰중독과 정서행동문제 및 관련변인과의 관계에 대한 조사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urvey on Relationships between Mobile-Phone Addiction and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in Middle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한선희 이승희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3호, 139~15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9.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의 휴대폰중독과 정서행동문제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더불어 관련변인(성별, 학년, 학교유형, 학급성적, 이성친구)과의 관계도 살펴보기 위하여 휴대폰을 사용하고 있는 329명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구문제별로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중학생의 휴대폰중독의 정도와 유형을 살펴본 결과 전체 평균점수(M=33.93)는 위험집단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형별로는 정상집단 38.0%, 위험집단 53.5%, 중독집단 8.5%이었다. 둘째, 중학생의 정서행동문제 정도를 살펴본 결과 K-YSR 11개 하위척도에서 모두 T점수 평균인 50점보다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셋째, 휴대폰중독에 따른 정서행동문제 정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K-YSR 11개 하위척도별로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10개 척도 중 3개 척도(신체증상, 우울/불안, 사회적 미성숙)에서는 중독집단이 정상집단보다 점수가 더 높았으며 7개 척도(사고의 문제, 주의집중문제, 비행, 공격성, 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총문제행동)에서는 위험집단이 정상집단보다 그리고 중독집단이 정상집단과 위험집단보다 점수가 더 높았다. 넷째, 관련변인(성별, 학년, 학교유형, 학급성적, 이성친구)에 따른 휴대폰중독 정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관련변인별로 t-검증 또는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 학교유형 및 이성친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성별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학교유형에서는 여자중학교가 남자중학교와 남녀공학보다, 이성친구에서는 이성친구가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휴대폰중독 점수가 더 높았다. 다섯째, 휴대폰중독 유형에 따라 관련변인(성별, 학년, 학교유형, 학급성적, 이성친구)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관련변인별로 X2-검증을 실시한 결과 성별 및 이성친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성별에서는 남학생의 43.5%, 52.2%, 4.3% 그리고 여학생의 34.0%, 54.5%, 11.5%가 각각 정상집단, 위험집단, 중독집단이었다. 그리고 이성친구에서는 이성친구가 있는 경우의 10.3%, 64.1%, 25.6% 그리고 이성친구가 없는 경우의 41.7%, 52.1%, 6.2%가 각각 정상집단, 위험집단, 중독집단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선행연구들과 비교하여 논의되었고 향후 관련연구나 과제를 위한 몇가지 제언이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mobile-phone addiction with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and related variables(gender, grade, school type, academic achievement, opposite-sex friend) in middle school students. To do thi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329 students attending 5 middle schools in G city. The data from the questionnaire revealed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mobile-phone addiction came out a total average of 33.93 which fell under a dangerous group. The percentags of three addiction types(normal group, dangerous group, addicted group) were 38.0%, 53.5%, and 8.5%, respectively. Second, the degree of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tended to be slightly higher than the mean of T score at all 11 subscales of K-YSR. Third, at 3 subscales (somatic complaints, depression/anxiety, social problems) the addicted group showed higher scores of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than the normal group and at 7 subscales(thought problems, attention problems, delinquent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total problems) the dangerous group and addicted group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normal group and normal/dangerous groups, respectively. Fourth, girls, students at female schools, and students with a opposite-sex friend showed higher scores of mobile-phone addiction than boys, male/mixed-sex schools, students without a opposite-sex friend, respectively. Fifth, 11.5% of girls and 25.6% of students with a opposite-sex friend fell under the addicted group whereas 4.3% of boys and 6.2% of students without a opposite-sex friend fell under the addicted group. The results were discussed and several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선희,이승희. (2010).중학생의 휴대폰중독과 정서행동문제 및 관련변인과의 관계에 대한 조사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2 (3), 139-157

MLA

한선희,이승희. "중학생의 휴대폰중독과 정서행동문제 및 관련변인과의 관계에 대한 조사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2.3(2010): 139-1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