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교 특수학급학생의 예체능교과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담당교사의 실태 및 인식

이용수  0

영문명
Arts an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the Academic Achievement Assessment of Students in Special Classes of Middle Schools: Focused on Busan Metropolitan City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이경림 조미현 김진희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3호, 199~21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9.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예체능교과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담당교사의 실태와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예체능 교과를 담당한 교사 206명에게 응답받은 설문지를 교사와 장애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라 평가 실태의 하위요인인 수업조정/ 평가계획/ 평가과정/ 평가활용과 인식의 하위요인인 필요성/ 결과반영/ 실행/ 문제점의 요인별로 분석하였다. 음악교과의 담당교사들이 미술과나 체육과에 비하여 실행과 인식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의 결과를 나타냈다. 실태에서는 교육경력에 따라 그리고 인식에서는 교사의 성별과 학생의 장애정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대부분의 교사가 비장애학생과 유사하게 평가를 하고 있으나, 일부의 교사는 문항의 난이도 조정이나 시간연장 등의 평가수정방법을 사용하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장애학생의 예체능교과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학생에게 적합화하는 방법 등의 연수가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s and perceptions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oward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were enrolled in the special classes of middle school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06 arts an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to class accommodations, assessment planning, assessment process, use of assessment data, rationale for assessment, implementation, and challeng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Music teacher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n the assessment implementation and perception than art an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the current situation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eaching experiences. In the percep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eachers' gender and nature of students' disabilities. Most teachers did not use assessment accommodations, however a few teachers used accommodations such as modifying degree of difficulties and extension of testing time. Therefore,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the practice and performance test should be offered more chance to study the assess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경림,조미현,김진희. (2010).중학교 특수학급학생의 예체능교과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담당교사의 실태 및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12 (3), 199-217

MLA

이경림,조미현,김진희. "중학교 특수학급학생의 예체능교과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담당교사의 실태 및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12.3(2010): 199-2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