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네스코 평생교육 관점에서의 방과후학교 개념 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ncept of After-School from a UNESCO Lifelong Education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방과후학교학회
- 저자명
- 신기왕
- 간행물 정보
- 『방과후학교연구』제12권 제2호, 235~25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유네스코의 평생교육 보고서를 토대로 도출된 평생교육 핵심원리를 방과후학교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유네스코의 평생교육 원리는 교육의 연속성과 통합성,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계, 전인적 인간 형성, 교육기회의 균등, 시민성과 포용성으로 제시된다. 유네스코 평생교육 핵심원리를 방과후학교에 이를 적용하면, 방과후학교는 아동기의 학습자들이 평생학습 능력의 기초를 닦는 제3의 학습공간이자, 학교·가정·지역사회를 연결하는 학습생태계의 허브로 기능한다. 또한 학업능력뿐만 아니라 정서적 성장과 사회성을 아우르는 전인적 성장을 지원하며, 저소득층 및 취약계층 아동에게 실질적인 학습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교육 형평성을 실현한다. 더 나아가 방과후학교는 협동학습, 봉사활동, 공동체 놀이 등을 통해 민주적 시민성과 포용적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사회적‧실천적 학습의 장이다.
방과후학교는 학교교육을 보완하는 정책개념을 넘어, 유네스코 평생교육 담론이 제시한 원리를 실제 아동기 교육현장에서 실현하는 중요한 학습의 장이다. 방과후학교는 평생교육의 철학과 원리를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제도적 장치이자 평생교육의 원리가 구현되는 평생학습의 장이 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how the core principles of lifelong education, derived from UNESCO's Lifelong Education Report, can be applied to After-school. UNESCO's core principles of lifelong education are presented as continuity and integration of education, linking schools and communities, developing holistic individuals,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citizenship and inclusiveness. Applying these principles to After-school, After-school functions as a third learning space where children build the foundation for lifelong learning abilities and as a hub of a learning ecosystem connecting school, home, and community.
Furthermore, they support holistic development, encompassing not only academic ability but also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They also provide practical learning opportunities for children from low-income and vulnerable families, thereby achieving educational equity. Furthermore, After-school serves as social and practical learning spaces that foster democratic citizenship and an inclusive sense of community through collaborative learning, volunteer activities, and community play.
Beyond a policy concept that complements school education, After-school is crucial learning spaces that actualize the principles outlined in UNESCO's lifelong education discour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After-school should be institutional mechanisms that concretely implement the philosophy and principles of lifelong education, and they should also become lifelong learning venues where these principles are realized.
목차
Ⅰ. 서론
Ⅱ. 유네스코 평생교육과 방과후학교 관계
Ⅲ. 유네스코 평생교육과 방과후학교 개념의 학장
Ⅳ.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H대학의 비교과 프로그램 현황과 학생들의 인식 및 요구에 대한 분석
- ‘쌍감’ 대 ‘방과 후' : 중국의 교육정책 비교 분석
- 중국 사교육 교사의 전문성과 성찰적 실천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 돌봄전담사의 애정형, 방임형 돌봄행위가 공감능력을 매개로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
- 초등아동 돌봄 종사자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4년~2024년 발행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학교자율시간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분석
- 글쓰기클리닉 프로그램이 A대학 핵심역량 향상에 미치는 영향
- 저출산시대, 늘봄학교 운영사례 분석을 통한 늘봄학교 질제고 방안 탐색
- 유네스코 평생교육 관점에서의 방과후학교 개념 고찰
- 대학 융합교육의 내실화 방안 탐색: 해외 우수사례 대학의 지원 체제 및 제도, 교육 방법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연쇄적 베이지안 추론을 적용한 학습전략 사용 및 효과 판단의 착각현상 분석
- 중국인 유학생 대상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K대학교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 일상 속 인성덕목을 반영한 유아인성교육 실천방안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