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특수학교 장애아동 학부모의 특수교육 만족도와 그의 관련 변인 탐색

이용수  0

영문명
An Inquiry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Special Education and Its' Relative Factors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Elementary Special School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권주석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2호, 335~35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 특수학교 장애아동 학부모가 지각한 특수교육 만족도와 그의 관련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하려는 것이다. 이것은 학부모와 장애아동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변인을 밝힘으로써 장애아동의 교육권을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하여 특수학교 장애아동 학부모 294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밝혀진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특수학교 학부모의 특수교육 만족도는 지적장애와 시각장애 아동의 학부모가 높았으며, 국립 특수학교 학부모의 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초등 특수학교 학부모의 특수교육 만족도는 교육활동과 관련 서비스 영역과 관련되며, 교육활동은 개별화 교육, 개인생활 기능 그리고 교과활동 순으로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관련 서비스는 서비스의 개방성, 유연성, 적절성의 차원 순으로 관련됨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특수학교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재구조화되어야 하는 지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satisfaction level of parents for special education of their children and the factors related with their satisfaction level. This study would clarify the factors which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s perceived as their children's educational needs, which will be fundamental to find a way to secure the right of education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were 294 parents of children of disabilities, and the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from these parents. The data were analysed by one way ANOVA, t-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nalyzed as follow. First, in elementary schools, the satisfaction level of parents with visually handicapped children an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high, and they showed high level of satisfaction on schooling at national special schools. Second, the satisfaction level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ents were closely related to their children's schooling and related services for special education, and they showed high relevance to the satisfaction level of schooling activities in order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ersonal activity function and curriculum activity. Also, in terms of related services, they showed high relevance in order of openness, flexibility, and appropriation of the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direction special school education should be reconstruct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주석. (2014).초등 특수학교 장애아동 학부모의 특수교육 만족도와 그의 관련 변인 탐색. 특수아동교육연구, 16 (2), 335-352

MLA

권주석. "초등 특수학교 장애아동 학부모의 특수교육 만족도와 그의 관련 변인 탐색." 특수아동교육연구, 16.2(2014): 335-3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