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통합학급 자유선택활동에 나타난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이용수  3

영문명
A Study on Analysis of Play Instruction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Inclusive Settings for Free Choice Activ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강성리 이병인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2호, 393~42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학급의 유아특수교사들이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장애유아의 놀이를 지도한 경험을 탐색함으로서 통합학급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19명의 통합학급 유아특수교사들을 심층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Strauss와 Corbin(1998)의 연속적 비교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132개의 개념, 60개의 하위범주, 1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분석된 범주를 Struass와 Corbin(1990)의 패러다임 모형에 따라 분석하여 범주 간 관계성을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도에 대한 중심현상은 ‘놀이지도의 힘겨움’이었고, 이에 원인이 되는 인과적 조건은 ‘장애유아의 놀이 참여특성’과 ‘유아특수교사 요인’이었으며, 맥락적 조건의 ‘교육기관 특성 및 기관장의 태도’, ‘부모의 놀이중요성 인식’, ‘인적 자원 및 학급구성’의 외부요인과 중재적 조건의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교사의 관점’, ‘교사의 자유선택활동 지도역량’, ‘자유선택활동의 교사협력’이 영향을 주었다. 유아특수교사는 ‘놀이지도의 힘겨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놀이개입전략’, ‘가정연계전략’, ‘또래와의 상호작용 지원전략’, ‘교육과정 수정․적용 및 놀이개발전략’, ‘물리적 환경구성 및 교재교구 수정’의 다양한 전략들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통합 환경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내적 요소들과 놀이지도 경험의 세부내용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통합교육 현장에서 자유선택활동 지도를 할 때에 요구되는 환경적 조건들에 대한 이해와 놀이지도 전략 모색 및 적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rrange the foundation in understanding about play instruction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in an inclusive class through in -depth interview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9 early childhood teachers in inclusive classrooms. Data collection was made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and organized after passing through coding and conditional matrix work with the process of integrating theory inductively. As a result of analyzing category related to teachers' play instruction experience, it elicited totally 132 concepts, 60 sub-categories, and 16 categories. The casual condition was elicited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free choice activities participation', 'teachers' attitude and experiences'. The contextual condition was indicated to b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attitudes of kindergarten directors’, ‘parent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play’ and ‘human resources and class organization’. The phenomenon was analyzed ‘difficulty of play instruction’. The intervening condition was analyzed ‘teachers' perspective for free choice activities', ‘teachers' competencies for play instruction’ and ‘cooperating of teachers'.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indicated ‘teachers' instruction strategies for free choice activities', ‘peer support strategies in free choice activities’, ‘application of education curriculum for free choice activities and development of play' and ‘construction of physical environment and teaching material’. The consequences were elicited ‘particip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free choice activities', ‘to play with peers’ and ‘teachers' efficacy for play instruction’. Finally, the categories, which were elicited in this study, would be able to utilized as basic data for play instruction strategies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성리,이병인. (2014).유아통합학급 자유선택활동에 나타난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6 (2), 393-424

MLA

강성리,이병인. "유아통합학급 자유선택활동에 나타난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6.2(2014): 393-4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