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적합성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The Study on Appropriacy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an Agent-Based Model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권순황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2호, 149~17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적합성이 높은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그것의 성취기준, 즉 내용기준과 수행기준을 적정 수준에서 정의해야 한다. 또한 현장에서 그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특수교사의 전문성을 고려해야 한다. 지금까지의 연구도 그러한 필요성을 공히 인식하고 있었으나, 성취기준의 적정 수준 및 특수교사 역량의 중요성에 대한 합의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서 새로운 합의점을 제시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내용기준과 수행기준으로 나누어, 각각이 특수교육 교육과정 적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둘째, 특수교사의 역량이 특수교육 교육과정 적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이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방법은 지금까지 합의된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정의를 바탕으로 행위자 기반 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모형의 전개 결과를 논의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은 내용기준이 높을수록 교육과정 적합성은 높아진다. 둘째, 수행기준은 내용기준 및 특수교사의 능력에 따라 달라지는 최적점을 갖는다. 특히, 특수교사의 능력이 높을수록 내용기준이 특수교육 교육과정 적합성과 맺고 있는 양의 관계는 강해지며, 수행기준의 최적점을 찾는 것이 용이해진다.

영문 초록

To develop a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ith high level of appropriacy, it is required to define achievement standard, which consists of content and performance standard. Preceding studies did not reach consensus about appropriate level of those standards, in spite of the agreement on its necessity. The current study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settlement as it assessed the following. First, it investigated the effect of each standard on appropriacy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mechanism in it. Second, it introduced teachers' capability as a moderator of the mechanism. Agent-based model to fulfill the purposes revealed as follows. First, appropriacy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creased as its content standard does. Second, performance standard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has an optimal point, which can move according to given content standard and special teachers' capability. Especially, special teachers’ capability makes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performance standard and the appropriacy of the curriculum, making it easier to find the optimal poi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순황. (2014).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적합성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6 (2), 149-170

MLA

권순황.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적합성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6.2(2014): 149-1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