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성인의 사회참여 수준과 인식
이용수 0
- 영문명
- Actual Condition and Recognition on Social Participa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임혜경 박재국 김은라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2호, 519~54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성인의 사회참여 수준과 인식을 알아보고, 사회참여 수준과 인식과의 상관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 대상자는 부산, 울산, 경남지역 소재 장애인 고용촉진공단,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센터, 장애인 종합복지관의 협조를 구해 단순무선표집방법으로 선정된 장애성인 186명이었다. 조사 도구는 WHO(2001)의 ICF 항목을 근거로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설문지를 개발한 뒤 전문가의 검토를 받았다.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성인의 사회참여 전체 수준은 평균보다 낮은 편이었고, 이동 영역이 사회경제생활 및 시민생활에의 참여에 비해 다소 높은 수준이었다. 둘째, 장애성인의 사회참여 수준은 ‘일상생활 중에 도움 받는 정도’, ‘장애등급’, ‘월평균 수입’, ‘직장유무’,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장애성인의 사회참여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인 수준이었고, ‘이동’ 영역에 대해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데 반해 ‘대인관계’ 영역에 대해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장애성인의 사회참여에 대한 인식은 ‘장애등급’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장애성인의 사회참여 수준과 인식과의 상관은 가정생활>시민생활>이동 영역 순으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선행연구에 비추어 논의하고 장애인 교육 및 복지 차원의 정책적,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였으며,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and recognition on social participa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o these ends, 186 subject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 that was based on ICF of WHO and adapted by special education exper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ctual condition on social participation was lower than the mean, and the level of movement domain was higher than that of social and economic life and civic life.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disability rating, income level, vocational condition, and sex. Third, the level of recognition on social participation was positive, particularly the level of recognition of movements domain was the highest, but interpersonal interaction and relationship had the lowest level. Fourth,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isability rating. Finally,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ctual condition and recogni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it needs to propose the various educational and welfare supports and political and practical alternativ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마트 폰 앱 기반의 직업교육이 자폐스펙트럼장애 고등학생의 도서 분류작업 수행에 미치는 효과
- 장애성인의 사회참여 수준과 인식
- 정신지체 초등학생의 국어과 듣기 말하기 영역 성취기준의 수행수준
- The Effectiveness of Chaining to Increase Complexity of Echoics in Children with Autism and Language Delays
-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실태와 중재방법에 대한 교사의 인식
- 초등 특수학교 장애아동 학부모의 특수교육 만족도와 그의 관련 변인 탐색
- 일반초등교사의 ADHD 관련 지식 및 ADHD 아동교육에 대한 효능감
- 자폐성장애 이해를 위한 독서 활동이 일반아동의 자폐아동에 대한 태도와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적합성 연구
-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중재 관련 국내연구 동향 분석
- The Effects of Conditioning 2-Dimensional Print Stimuli as a Reinforcer on the Rate of Textual Responses for Elementary Aged Students Diagnosed with ASD
- 증거기반 실제를 위한국내 쓰기 학습장애 중재연구 질 분석
- 교사와 시각장애유아 관계에 따른 놀이성과 사회성 발달 분석
- 장애성인의 기능적 문해 능력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유아통합학급 자유선택활동에 나타난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Multi-Dimensional Perspectives to Reduce Inappropriate Referrals of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Learners in Special Education
- 미국 거주 한국인 장애학생 어머니의 자녀양육 경험
- 자폐성장애아동의 영어 학습 및 웹기반 영어 학습 특성에 대한 질적연구
- 교사의 의사소통 방법과 교수방법에 따른 청각장애학생의 국어교과 성취력과 개선방안
- 어린이집 완전통합을 경험한 장애아동 부모가 인식하는 초등 통합의 어려움과 지원요구
-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를 이용한 중재가 발달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 영유아를 위한 부모 참여 중재 연구의 동향 및 WWC 평가 지표에 의한 분석
- 자폐성 장애아동을 위한 상황이야기 중재연구 문헌분석
- 청각장애 특수학교 영어교육 및 보조 도구 실태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