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폐성장애 이해를 위한 독서 활동이 일반아동의 자폐아동에 대한 태도와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Bibliotherapy on General Students' Attitudes towards Students with Autism and the Perception of Their Autistic Peer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최은정 김수연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2호, 501~5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자폐성장애 이해를 위한 독서 활동이 자폐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와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2학년 3개 학급의 일반아동이다. 3개 학급은 실험집단Ⅰ, Ⅱ, 통제집단으로 구성되었다; 1) 실험집단Ⅰ: 자폐아동이 통합된 학급으로 중재가 적용됨, 2) 실험집단Ⅱ: 자폐아동이 통합되지 않았으며 중재가 적용됨, 3) 통제집단: 자폐아동이 통합되지 않았으며 중재가 적용되지 않음. 중재는 자폐성장애에 대한 수용과 이해를 높이기 위해 10차시로 구성한 독서 활동 프로그램이다. 실험 결과 자폐아동에 대한 수용태도는 실험집단Ⅰ이 실험집단Ⅱ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자폐아동과의 친구관계의 질은 실험집단Ⅰ의 일반아동만을 대상으로 측정하였는데, 사전-사후 검사 점수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장애이해교육의 효과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d the effect of bibliotherapy on general students' attitudes towards students with autism and the perception of their autistic peer. Three second-year class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three classes were two experimental groups and one control group; (1) a treatment group including a student with autism (Experimental Group I), (2) a treatment group without a student with autism (Experimental Group II), and (3) a control group without a student with autism (Control Group). The treatment is a ten-class-hour reading activity program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autism. The data analysis demonstrated that Experimental Group I accept the autistic student more easily than Experimental Group II and Control Group. The quality of friendship was measured within Experimental Group I,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 between pre- and post-test. Several issues regarding the result were also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마트 폰 앱 기반의 직업교육이 자폐스펙트럼장애 고등학생의 도서 분류작업 수행에 미치는 효과
- 장애성인의 사회참여 수준과 인식
- 정신지체 초등학생의 국어과 듣기 말하기 영역 성취기준의 수행수준
- The Effectiveness of Chaining to Increase Complexity of Echoics in Children with Autism and Language Delays
-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실태와 중재방법에 대한 교사의 인식
- 초등 특수학교 장애아동 학부모의 특수교육 만족도와 그의 관련 변인 탐색
- 일반초등교사의 ADHD 관련 지식 및 ADHD 아동교육에 대한 효능감
- 자폐성장애 이해를 위한 독서 활동이 일반아동의 자폐아동에 대한 태도와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적합성 연구
-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중재 관련 국내연구 동향 분석
- The Effects of Conditioning 2-Dimensional Print Stimuli as a Reinforcer on the Rate of Textual Responses for Elementary Aged Students Diagnosed with ASD
- 증거기반 실제를 위한국내 쓰기 학습장애 중재연구 질 분석
- 교사와 시각장애유아 관계에 따른 놀이성과 사회성 발달 분석
- 장애성인의 기능적 문해 능력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유아통합학급 자유선택활동에 나타난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Multi-Dimensional Perspectives to Reduce Inappropriate Referrals of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Learners in Special Education
- 미국 거주 한국인 장애학생 어머니의 자녀양육 경험
- 자폐성장애아동의 영어 학습 및 웹기반 영어 학습 특성에 대한 질적연구
- 교사의 의사소통 방법과 교수방법에 따른 청각장애학생의 국어교과 성취력과 개선방안
- 어린이집 완전통합을 경험한 장애아동 부모가 인식하는 초등 통합의 어려움과 지원요구
-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를 이용한 중재가 발달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 영유아를 위한 부모 참여 중재 연구의 동향 및 WWC 평가 지표에 의한 분석
- 자폐성 장애아동을 위한 상황이야기 중재연구 문헌분석
- 청각장애 특수학교 영어교육 및 보조 도구 실태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