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각장애 특수학교 영어교육 및 보조 도구 실태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Use of English Teaching Aids and Improvement based on Smart Devices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김현숙 한경임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2호, 27~4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장애 특수학교의 영어 교과 운영과 비치된 교육 보조 도구 활용 실태를 조사하고, 청각장애 학생을 위한 영어과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요구 등을 파악하여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영어교육 보조 도구 개발 필요성에 대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전국의 청각장애 특수학교 15개교의 영어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에 기초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글로벌 시대에 청각장애 학생들을 위한 영어교육의 필요성은 인식하지만, 학생들의 심한 개인차와 개별 수준에 맞는 교과 내용 및 학습 도구 부족 등이 영어과 교육목표에 미치지 못하는 교과 운영의 이유가 될 수 있다. 둘째, 학생들에게 효율적이라 생각하는 영어교육 보조 도구로 컴퓨터와 스마트기기용 학습 프로그램이며 개발과 제작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전체 학생의 69%가 스마트 기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스마트교육의 추진전략의 하나로 국가적 차원에서 학교에 지원하고 있는 스마트기기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휴대성과 접근성이 높고 시각적 교육 콘텐츠를 구현하기 가장 유용한 스마트기기는 청각장애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가장 적합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청각장애 학생을 위한 영어교육 모형과 콘텐츠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며, 청각장애 학생들에게 특화된 영어교육을 위해 기존의 사전 기능에 단어를 영어 수화로 표기, 발성을 위한 조음기관 움직임 설명과 화자의 발성 크기와 발음의 정확성을 확인할 수 있는 상호작용 기능 등이 포함된 스마트기기용 영어 학습 교육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하겠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nglish curriculum and use of training aid of schools for deaf students, and to find out the needs of teaching and learning of English subject and to examine development of effective English education tools for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First,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for deaf children had English curriculum: Even if not only teachers but also students cognized needs of English learning to improve life quality of the student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to expand job opportunity as well as social activities at various kinds of areas, they had difficulties at shortage of English teaching materials and educational tools and teaching methods. The students were not educated according to educational goal of English subject because of shortage of curriculum and learning tools depending upon much difference of individuals and levels of each student. Educational tools for customized and individual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to help teachers teach English subject and students learn English effectively. Second, computer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tool for deaf students, and personal English learning contents and word cards, dictionaries and learning program for smart devices should be prepared. The smart devices for the schools were short of contents, and English education contents for deaf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to teach English effectively. The students thought that effective English education aid tools were computers and smart devices such as smart phone and tab. English education aid tool with smart devices should be developed to teach deaf students having great individual differences in practical and individual way. Third, the government supported smart classroom environment to promote smart education and to make change of learning devices and education materials quickly and to let more than 69% of students keep smart phones: Thus, smart devices became essential items of citizens in modern society. Smart devices could be useful for voice cognition, play of high capacity multimedia contents, user oriented interface and other visual education contents. Therefore, teaching and learning tools should be developed and used under smart learning environment. The study suggested effective English learning for deaf students:First, an in-depth analysis of inconvenience and problem for hearing-impaired students that have difficulty using English teaching aids for normal is needed to develop the user-optimized educational tool. Second, gathering the opinions about accessibility and need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earners is required prior to develop the English teaching aids and protype based on smart devices for hearing-impaired students. Finally, application of English learning for deaf students should include sign language expression of words in addition to existing dictionary function, movement of articulators for vocalization, and verification of speakers' size of speech and exactness of pronunciation and other mutual reactions. Development of English learning application for deaf students based on smart devices under progress was likely to make use of it for learning of English, Hangul and other foreign languag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숙,한경임. (2014).청각장애 특수학교 영어교육 및 보조 도구 실태에 관한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6 (2), 27-47

MLA

김현숙,한경임. "청각장애 특수학교 영어교육 및 보조 도구 실태에 관한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6.2(2014): 27-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