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중언어 농학생의 동반입학 지원을 위한 창조적 소수의 도전

이용수  0

영문명
The challenges of the creative minority towards supporting co-enrollment of sign-bilingual Deaf student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이한나 최상배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7권 제2호, 285~31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두 농학생의 일반학교 동반입학 과정을 지원한 사람들의 경험을 기술함으로써 청각장애교육에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동반입학 과정을 지원한 농학생의 농부모 2명, 수화통역사 3명, 사회복지사 1명, 특수교사 1명, 통합학급 담임교사 1명과 면담을 실시하여 자문화기술지 방법으로 기술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농부모는 과거 농학교의 부정적 경험으로 일반학교를 선택하였고, 농자녀가 일반학교에서 겪게 될 고립감을 해결하기 위해 동반입학을 결정하였다. 둘째, 동반입학과정에서 수화통역사 배치의 어려움 및 근무 여건의 열악함, 구화와 수화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나 향후 동반입학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교육수화통역사의 제도화와 농학생의 교육에서 수화에 대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수화를 통한 농학생과 일반학생의 상호작용이 형성되고 있어서 이를 촉진할 수 있는 협력교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셋째, 청각장애학생 교육 전반에 걸쳐 제기되는 낮은 학업성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기 이중언어환경 구축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따라서 이중언어 농학생의 동반입학 제도는 농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낮은 수준과 통합교육 상황에서 교육 주체의 소외감을 해결할 수 있는 청각장애학생 통합교육의 실천적 모델로써 적용 가능성이 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describes the experience of those that supported the co-enrollment of two deaf children into general school. Through the research, it identifies the motivation behind the parents in enrolling their deaf-children into the general school, the implications of the experience on successful settling process, and what they suggest on the deaf education as a whole.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concludes the following: First, the parents of deaf children chose general school due to negative experience at their past deaf school and decided to co-enroll in general school with another deaf child to resolve the possible feeling of isolation. Second, issues such as assigning sign language interpreter, improving the interpreter's work conditions, as well as accommodating sign language were brought up to support successful co-enrollment. Last, the need to build sign-bilingual education was mentioned to help deaf children achieve academic success. The specific topic of this research is on the co-enrollment of deaf children but implications apply to the deaf education as a whol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한나,최상배. (2015).이중언어 농학생의 동반입학 지원을 위한 창조적 소수의 도전. 특수아동교육연구, 17 (2), 285-313

MLA

이한나,최상배. "이중언어 농학생의 동반입학 지원을 위한 창조적 소수의 도전." 특수아동교육연구, 17.2(2015): 285-3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