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각장애 자녀에 대한 부모의 외래어, 신조어 사용 특성과 큐드 스피치 도입에 대한 인식

이용수  0

영문명
Deaf Child Parents's Expression Features of Foreign words and Neologism and Recognition of Cued Speech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서창원 오세철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7권 제2호, 159~17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각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외래어 및 신조어 사용의 특성과 큐드 스피치 도입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알기 위해 사례연구로 수행되었으며 아동대상의 음소변별력 검사는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ment ANOVA with Bonferoni Post hoc)와 t 검증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경북지역과 경기지역의 청각장애 특수학교의 부모 10명과 3세에서 13세의 청각장애아동 10명 총 20명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연구원은 각 가정이나 학교를 직접 방문하고 면담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추후 2회의 전화면담으로 추가 수집하였다. 잔존청력과 독화를 통한 음소변별능력검사는 무의미 단음절어를 초성, 중성, 종성으로 나누어 검사하였으며 closed test로 3차례(연구원 1회, 부모 1회, 교사 1회)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1) 청각장애 자녀를 둔 건청부모는 평균 76%의 의사소통을 구어와 잔존청력을 통해 의사소통을 한다고 응답하였으나 부모가 평소 사용하는 외래어나 신조어를 자녀에게 사용하는 비율은 평균 20.85% 이었다. 부모가 통상적으로 잔존청력과 구어만으로 의사소통을 하려고 하지만 신조어나 외래어는 청각장애 자녀에게 소통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다른 단어로 대치하거나 수정, 배제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2) 청각장애 자녀의 음소변별력 검사의 자음-모음 평균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청각장애 자녀의 무의미음소변별은 잔존청력과 독화를 통해서도 49.6%의 정확성을 보였다. 3)청각장애부모는 독화와 잔존청력의 활용으로도 자녀에게 외래어나 신조어가 소통이 어려워 어휘를 선별하여 소통하며 큐드 스피치와 같은 구어언어를 보조하는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Likert scale 9.5/10점).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by case study on deaf parent's(N=10) and deaf child(N=10) in Kyongbook, and Kyonggi provinc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arent's recognition of introducing cued speech through foreign words and neologism of Korean. We conducted deep interviews three times. A fact to face interview was conducted at the first time. Then, ph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e next two times. Phoneme level discrimination test was conducted by nonsence words through deaf children’s residual hearing and lip reading, which was divided into oneset rime coda parts. The test was done three times by researchers, teachers and parents each. Results showed 1) Hearing parents with deaf parents are using only 20.85% of foreign words or neologism of Korean although they reported 76.% of communication was done by aural-oral way. The parents replaced another words or removed the neologism and foreign words in the communication. 2) With hearing support equipments, Phoneme level discrimination results were 49.6% of accuracy, and coda was harder than onset and rime. 3) Hearing parents reported that foreign words and neologism were challenging in communication between deaf children, so they use chosen words for their child. they responsed that spoken language supporting system like cued speech is extremely necessary(Likert scale 9.5/10).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창원,오세철. (2015).청각장애 자녀에 대한 부모의 외래어, 신조어 사용 특성과 큐드 스피치 도입에 대한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17 (2), 159-176

MLA

서창원,오세철. "청각장애 자녀에 대한 부모의 외래어, 신조어 사용 특성과 큐드 스피치 도입에 대한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17.2(2015): 159-1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