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적장애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업교육 직무연수에 대한 만족도

이용수  0

영문명
Satisfaction Level on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of Vocational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이정은 강영심 이연재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7권 제2호, 1~1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적장애 특수학교에서 직업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교사의 직업교육 직무연수에 대한 만족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 울산, 경남지역 소재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 125명이며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검증과 F검증(Scheffe 사후검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지적장애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업교육 직무연수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별로는 직업담당교사의 직업교육 경력, 학력 및 담당학급 유형에 따른 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근무학교 형태, 성별, 교직경력 및 교원자격에 따른 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직업교육 직무연수가 지적장애 특수학교 연수대상 교사의 직업교육 경력과 담당학급 유형을 고려한 내용으로 구성된다면 효과적일 것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level in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perceived by vocational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s were 140 vocational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Busan, Ulsan and Kyungnam areas. Their answer to the questionnaire were analys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F-test(Scheffe post-hoc testing).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level in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perceived by vocational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a little above the average. Second, type of schools, gender, teaching career and type of teacher certificate did not make any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However, the vocational teaching career, education and the type of class in charge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These results of analysis means that in oder to enhance the level of the satisfacti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must be customized to the vocational teachers various needs arising from the different vocational teaching career, academic career, and the type of class in charg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은,강영심,이연재. (2015).지적장애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업교육 직무연수에 대한 만족도. 특수아동교육연구, 17 (2), 1-18

MLA

이정은,강영심,이연재. "지적장애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업교육 직무연수에 대한 만족도." 특수아동교육연구, 17.2(2015): 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