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아동복지지원법」시행에 따른 원장의 역할 및 장애아전문어린이집 운영변화와 개선방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Director's Role Identity and Management Changes and Promotion Direction of Specialized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by Implementing「Welfare Support Ac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미나 조윤경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7권 제2호, 207~23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아동복지지원법」(보건복지부, 2011)의 장애아전문어린이집 지정에 따른 법제적인 변화가 현장에서 어떠한 의미가 있고 원장의 어려움은 어떠한 것이 있으며, 법제적인 변화에 대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변화 기대는 무엇인지 알고자 하였다. 또한 역할과 운영 변화의 개선방안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그에 따른 지원요구는 무엇이며, 법제적인 변화에 이어 유보통합의 변화가 다가오는 시점에서 장애아전문어린이집의 추후생존과제에 대한 실질적인 방안을 심층면담을 통해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9개 지역 장애아전문어린이집의 원장 12명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고, 이를 전사하여 내용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법제적인 변화에 대해 일부 원장은 단순히 명칭만 변화했다고 하였고, 또 다른 몇몇 원장은 전문성 강화에서 긍정적인 효과와 장애 영아 조기 개입 등의 새로운 역할도 예상하였다. 둘째, 원장은 교직원 인사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아동의 부족 및 일반아동모집의 어려움으로 인한 운영비의 부담과 실질적인 현장을 고려하지 않은 시ㆍ도청 위주의 법제정의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넷째, 장애아전문어린이집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어린이집으로의 사회적 인식개선의 계기가 제공되었으며, 어린이집 정원 최소인원 감축에 따른 전체 정원확보의 부담 감소와 전문성을 갖춘 특수교사의 배치로 인한 교수 수준 향상 등 긍정적 변화 기대를 나타냈다. 다섯째, 전문적 팀 협력을 지원하고, 교사교육과 지역 관련학과와의 연계를 통해 지역적 특수교사 수급을 하는 등의 대내외적인 어려움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여섯째, 장애아전문어린이집에 대한 교직원처우를 특수학교와 동등하게 개선하는 등 현실적인 운영 어려움에 대한 개선책도 제시하였다. 일곱째, 후속적 조치 강화, 지원체제강화, 특수성고려, 행정 관련 담당자 지정, 일반ㆍ통합어린이집 지원, 지역적 지원강화로 지원요구가 나타냈다. 여덟째, 추후 과제는 각 전문가들의 협력을 통한 전문성 강화와 어린이집 내에서는 치료사 full-in시스템 도입과 각 어린이집의 특성화된 전문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더 나아가 유보통합을 통해 동일한 의무교육기관인 교육부의 유아특수학교와 같은 처우개선 및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도 제기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legal change for the field which was caused by designation of specialized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according to「Welfare Support Ac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the difficulties of role and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directors, what positive changes they expected despite the difficulty from the legal change, what the plans for the improvement, what the directors request to ease the difficulty from legal change and practical solution for the survival at this time when the upcoming consolidation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is approaching after the legal chan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 directors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hem, after which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duplicated cont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rectors felt that the some legal changes were simply changes in terms and thus meaningless while they expected positive effect and new roles like early intervention in others such as fortification of the professionalism. Second, directors responded that they felt difficulty in the management of teaching personnel due to the legal change. Third, directors confessed the burdens due to shortage of children and difficulty to recruit normal children and complained that laws were enacted to fit the convenience of the city and provincial government in ignorance of the field. Fourth, directors expressed expectation that social recognition on specialized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would change into special kindergartens and amelioration on the restriction on minimum number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alleviating their loads. In addition, they had positive expectation that deployment of special teachers with professional expertise would enhance the overall level of teachers. Fifth, to relieve the difficulty of their roles, directors suggested improvement plans such as support of professional team cooperation etc. Sixth, for the improvement of operation, directors came up with practical solutions such as raising the wage of the teachers etc. Seventh, directors requested supports such as strengthening following actions and support system, consideration of the special traits, designation of administrative personnel in charge, support for general and integrated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and increase of regional support. Eighth, for the survival of centers in the future, directors emphasized the exercise of professionalism by cooperation of experts, integrated approach such as full-in therapist system, and development of professional programs unique to each centers. For the upcoming consolidation of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directors also suggested treatment improvement and support as the special kindergartens supported by Ministry of Education.
목차
Ⅰ. 연구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 3세 인공 와우 시술 아동과 보청기 착용 아동의 균형능력의 비교
- 지적장애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업교육 직무연수에 대한 만족도
- 청각장애 자녀에 대한 부모의 외래어, 신조어 사용 특성과 큐드 스피치 도입에 대한 인식
- 「장애아동복지지원법」시행에 따른 원장의 역할 및 장애아전문어린이집 운영변화와 개선방향
- 이중언어 농학생의 동반입학 지원을 위한 창조적 소수의 도전
- 자연물을 이용한 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
- 행위자 기반 모형을 활용한 청각장애 공통교육과정의 적합성 연구
- 증거기반의 행동중재 전략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사범대학과 연계된 특수교사 양성체제의 재구조화 및 개혁방안
- 특수학교 방과후학교 외부강사가 겪는 어려움
- 노래 및 음식재료판 제작활동을 통한 생활자립훈련이 그룹홈 거주 지적장애인의 요리기술에 미치는 효과
- 학교기반 RTI 실행
- 장애유아 아버지와 비장애 유아 아버지의 행복에 대한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