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기반 RTI 실행

이용수  0

영문명
School-based RTI: A Case Study of P Elementary School in the Midwest USA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김자경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7권 제2호, 133~15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사례 연구는 학습장애 진단 모형으로 제시된 RTI를 실행하고 있는 미국 중서부지방의 중소도시에 소재한 P초등학교를 분석하였다. 이 초등학교는 해당 시교육청에서 지정한 RTI 파일럿 학교로서 학교 기반 RTI를 실행해오고 있다. 이 학교 구성원의 RTI 실행에 대한 인식과 RTI 실행과정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RTI 계획과정과 운영과정에 핵심 인력으로 참여한 7명을 반구조화된 질문에 기초하여 집단 인터뷰하였으며, 평가 팀 회의를 비롯한 각종 RTI 관련 팀 회의에 참여 관찰하였으며, RTI 관련 학교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주요 테마로 RTI 실행에 대한 학교 구성원의 긍정적인 인식, 3단계-RTI 실행과정: 읽기와 수학, 쓰기 영역으로의 RTI 확대, 정기적인 팀 회의를 통한 지속적인 의견 수렴 및 결정: 중재 및 측정 과정에 대한 성찰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에 대한 논의를 통해 성공적인 RTI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RTI is an alternative model for the classifica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This study analyzed P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Midwest USA. P school is one of RTI pilot schools in the state and has implemented RTI for 4 years. For the study, 7 main members were group-interviewed wit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regarding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chool-based RTI. The author observed various RTI team meetings, and collected school documents and meeting records related to the school RTI. Major themes include positive perception of school members on RTI implementation, 3-tiered RTI implementation: escalation of RTI to the areas of reading, math and writing, and continuous opinion collection and decision making through team meetings: reflection on intervention and measurement. Several insights for successful school-based RTI implementation a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자경. (2015).학교기반 RTI 실행. 특수아동교육연구, 17 (2), 133-157

MLA

김자경. "학교기반 RTI 실행." 특수아동교육연구, 17.2(2015): 133-1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