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유아 아버지와 비장애 유아 아버지의 행복에 대한 인식

이용수  0

영문명
Perception on Happiness of Fa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김은라 박재국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7권 제2호, 19~4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유아 아버지와 비장애 유아 아버지의 행복에 대한 인식을 탐색함으로써 장애유아 아버지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사회적 지원 방안 탐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 1-8세 특수교육대상 유아 아버지 112명과 만 1-8세의 비장애 유아 아버지 114명, 총 226명을 대상으로 행복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유아 아버지의 행복감은 평균 수준이었으며, 비장애 유아 아버지의 행복감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유아 아버지의 행복감과 비장애 유아 아버지의 행복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둘째, 장애유아 아버지의 변인에 따른 행복감은 학력과 수입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비장애 유아 아버지의 변인에 행복감은 학력, 수입, 단체 활동 참여 유무, 자녀 연령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유아 아버지의 행복감 향상이 자녀양육에의 긍정적 파급효과를 가지기 위해서는 장애유아 가정을 지원해 줄 국가적 정책 및 부모교육 프로그램 등의 개발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perception on happiness of fathers of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o this end, 226 subjects who were fathers of young children aged 1-8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recognition on happiness of fa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on the average. As well the level of perception on happiness of fathers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as more or less higher than the average.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happiness of fa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ies.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fa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uch as scholarship and income level. As wel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fathers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such as scholarship, income level, group activity, and child’s age. Based on these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it needs to develop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nd offer welfare supports to facilitate the level of happiness of fa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라,박재국. (2015).장애유아 아버지와 비장애 유아 아버지의 행복에 대한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17 (2), 19-46

MLA

김은라,박재국. "장애유아 아버지와 비장애 유아 아버지의 행복에 대한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17.2(2015): 19-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