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학교 방과후학교 외부강사가 겪는 어려움

이용수  0

영문명
The hardships of the after-school programs instructors in the special education school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김현희 임경원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7권 제2호, 233~25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방과후학교의 중등 수업을 담당하는 외부강사들이 겪는 어려움을 그들의 입장에서 기술하고 심층적으로 해석하여, 방과후학교 강사제도의 효율적 운영과 교육적 성과를 제고하는데 도움이 될 만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특수학교 방과후학교의 중등수업담당 외부강사 8명이었으며,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3개의 상위범주, 7개의 하위범주, 21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특수학교 방과후학교 강사가 겪는 어려움은 ‘장애학생지도의 명암: 부담과 보람’, ‘직업인으로서의 방과후학교 강사: 지나치게 열악한 처우’, ‘방과후학교의 발전방안: 방과후학교도 “학교”다’의 3개 상위 범주로 도출되었다. 7개의 하위범주로는 ‘장애와 안전사고에 대한 부담감’, ‘작지만 큰 교육적 도전과 보람’, ‘강사료와 재료비 책정의 개선 필요’, ‘능력에 비해 열악한 고용실태’, ‘방과후학교 운영체제와 교실환경의 어려움’, ‘방과후학교 운영의 발전방안’, ‘방과후학교지원센터의 특수교육기관 지원필요’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특수학교 방과후학교의 발전 방안 및 후속연구를 위하여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measure for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the after school program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the after-school program instructors in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furthermore to offer fundamental data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 after-school education of all. For the data, the in-depth interviews of eight instructors were conducted who teach at the after-school programs for secondary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school.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t first, the instructors experienced the difficulties but felt it worthy as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a pleasant work as well as a burdening task. Secondly, as a profession, the instructors were found that they were given an inadequate treatment compared with what they worked for the class. Thirdly, the instructors had a variety of opinions on the development of the after-school programs. This thesis suggests a follow-up study of the development plan of the operation of the after-school programs and the support plan for the instructo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희,임경원. (2015).특수학교 방과후학교 외부강사가 겪는 어려움. 특수아동교육연구, 17 (2), 233-255

MLA

김현희,임경원. "특수학교 방과후학교 외부강사가 겪는 어려움." 특수아동교육연구, 17.2(2015): 233-2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