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육대상학생 평가조정의 개별화교육계획 반영과 평가 적용 실태
이용수 3
- 영문명
- Testing Accommoda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Planned IEPs and Actual Test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박경옥 김지연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9권 제2호, 197~22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학력평가를 위한 평가조정이 정책적으로 도입된 지 십여 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평가조정의 특수교육대상학생 개별화교육계획 반영 및 실제 적용 현황을 확인하고, 학교, 교사, 학생 변인에 따라 그 반영과 적용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특수교육대상학생 평가조정 전략 선택을 돕기 위해 구안된 Assessment Accommodations ChecklistTM를 활용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전국 일반학교(특수학급)와 특수학교에 근무 중인 132명 특수교사의 응답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 및 각 집단 별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64개 평가조정 전략의 개별화교육계획 반영은 각 전략별 연구 참여 교사의 3~28%가 반영하고 있다고 응답하여 비교적 저조하게 나타났고, 상당수의 항목이 실제 평가에는 적용되고 있었지만 개별화교육계획에는 명시되지 않았다. 64개 중 16개의 전략은 연구 참여교사의 40% 이상이 실제 평가에 적용하고 있었고, 수학과보다는 국어과에서 평가조정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개별화교육계획 반영 및 국어과와 수학과에서 많이 사용되는 전략들을 확인하였으며, 학교(특수/일반, 교육과정편성기반), 학생(장애종별, 학교급), 교사(연수유무, 경력) 변인에 따른 평가 조정 전략의 개별화교육계획 반영과 실제 적용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application of the test accommoda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ir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IEPs) and the actual test sessions. Method: Using samples of 132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swered the Assessment Accommodations ChecklistTM, descriptive statistic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were used to describe accommodations listed in students’ IEPs and that were actually implemented.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clusion of each test accommodation in the IEPs was relatively low, ranging from 3% to 28% of teachers. Many accommodation strategies were provided in the actual testing sessions but were not specified in the IEPs. Sixteen out of 64 strategies were applied by more than 40% of the participating teachers. Accommodations were much frequently provided in Korean than Math tests. The analysis also focused on comparing the differences of accommodations listed in students’ IEPs and provided in the testing sessions by several variables such as types of schools, curriculum foundation, type of students’ disabilities, students’ age,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and training experiences on testing accommodations. Conclusion: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ese findings for policy, service, and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자녀권리 존중에 미치는 영향
- 학교생활만족도가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특수교사의 장애학생 부모상담 경험
-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반성적 모의 수업이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교사 효능감 및 교육에 대한 인식변화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을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삶
- 특수교육대상학생 평가조정의 개별화교육계획 반영과 평가 적용 실태
- 특수학교 내 협력적 언어재활 서비스 제공에 대한 실태 및 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
-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따뜻함’에 대한 특수교사의 의미 변별
- 자폐성장애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연구
-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내 그룹홈 참조 직업교육이 비고용 지적장애인의 조리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
- 일반교사의 중도․중복장애학생 통합교육 경험 및 지원요구
-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 중·고등학교 교과성취기준의 성교육 내용 분석
- 다중반응교수법(MEI)이 언어발달지연 학생의 우발적 언어 습득 능력 네이밍(Naming)에 미치는 효과
-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성취수준별 분수와 소수 문제해결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