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교 특수교사의 장애학생 부모상담 경험
이용수 0
- 영문명
- Experiences on Consult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Middle Schools with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미숙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9권 제2호, 47~7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들이 장애학생 부모와의 부모상담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특수교사로서 경험한 장애학생 부모상담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 9명의 특수교사가 참여하였으며, 자료수집과 자료분석은 질적연구 접근법에 토대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의 부모상담은 비공식적이고 비형식적인 연락이 주를 이루고, 가정방문이 이루어지며, 개별화교육계획 회의가 주요한 상담의 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특수교사들은 부모상담을 위해 교사가 부모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부모와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러한 부모상담에 대한 스스로의 지침에 토대해서, 특수교사는 교사로서의 자존심이나 권위를 내세우지 않고, 부모상담시 학생의 부정적 측면보다는 긍정적 측면을 먼저 언급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셋째, 특수교사의 부모상담에서 나타난 부모 유형은 협력적인 부모, 무관심한 부모, 숨기려는 부모, 대하기 어렵고 힘겨운 부모, 그리고 장애인 부모였다. 결론: 마지막으로, 특수교사는 보다 나은 부모상담이 되기 위해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부모상담에 대한 교사교육 또는 교사연수, 교사의 상담능력을 뛰어넘는 상담에 대해서는 전문상담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해결, 그리고 교사와 부모의 신뢰 쌓기를 우선적으로 언급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he parent consultation through the experiences of consultation with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consultation with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how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he parent consultation, and what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 consultation were. The study included 9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based o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 consult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usually informal, included home visiting, and was held as the meeting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Secon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sisted that the basic of parent consultation was listening the stories of the parents, and it is needed to sustain the distanc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Thir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dicated that the types of parents included incorporated parents, indifferent parents, dissimulative parents, difficult parents, and parents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Finally,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mentioned that it is important to have the in-service training regarding parent consultation, the liaison between school and professional counseling agency, and the trust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자녀권리 존중에 미치는 영향
- 학교생활만족도가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특수교사의 장애학생 부모상담 경험
-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반성적 모의 수업이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교사 효능감 및 교육에 대한 인식변화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을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삶
- 특수교육대상학생 평가조정의 개별화교육계획 반영과 평가 적용 실태
- 특수학교 내 협력적 언어재활 서비스 제공에 대한 실태 및 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
-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따뜻함’에 대한 특수교사의 의미 변별
- 자폐성장애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연구
-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내 그룹홈 참조 직업교육이 비고용 지적장애인의 조리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
- 일반교사의 중도․중복장애학생 통합교육 경험 및 지원요구
-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 중·고등학교 교과성취기준의 성교육 내용 분석
- 다중반응교수법(MEI)이 언어발달지연 학생의 우발적 언어 습득 능력 네이밍(Naming)에 미치는 효과
-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성취수준별 분수와 소수 문제해결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