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폐성장애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Parenting Stress of the Par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ASD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윤지성 정은희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9권 제2호, 269~29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자폐성장애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도지역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의 자폐성장애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 11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는 중간 수준보다 다소 낮은 정도였다. 둘째, 자녀의 특성에 따른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를 알아본 결과 남학생의 부모가 여학생의 부모보다 스트레스가 더 높았고, 고등학생보다 중학생을 둔 부모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또한 자녀의 장애등급이 높을수록 적응, 수용, 요구, 기분 영역에서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으며 자녀가 통합교육 환경인 경우에 양육 스트레스가 더 낮았다. 부모영역에서는 장애등급이 높을수록 애착, 역할제한, 유능감, 고립에서 높은 스트레스를 보였다. 셋째, 양육자별로 볼 때 기분, 주의산만/과잉행동에서 아버지보다 어머니의 스트레스가 더 높았고, 애착과 고립에서는 어머니보다 아버지의 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졸과 중졸 이하 집단이 고졸집단보다 스트레스가 더 높았다. 결론: 자폐성장애 자녀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생애주기별, 성별, 장애정도별 특성을 고려한 가족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청소년기 자녀를 둔 가족에게는 사춘기 문제행동 관리 방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parenting stress of the parents of autistic children attending to middle and high schools. Method: Total number of 114 parents were tested who ha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a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in Gyeonggido. One-way ANOVA and t-test were used. Result: First, the parenting stress was slightly lower than the middle level. Second, the parents of male students were more stressful than those of female students, and the stress of parents with middle school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parents with high school students. In addition, as a child's disability grade was higher, the higher the stress was in adaptation, acceptance, demand, and mood. In the parental domain, the higher the degree of disability, the higher the stress on attachment, role limitation, competence, and isolation. The parenting stress of the parents was generally lower when their children were in an integrated education environment. Third, in terms of parental gender, mothers' stress was higher than father's in mood, and distractibility/hyperactivity and the latter was higher than the former in attachment and isolation. The parents group of college graduates and the less than middle school graduates had higher stress than that of high school graduates. Conclusion: In order to reduce the parenting stress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family support is need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ife cycle, sex, and degree of disability. Support for adolescent problem behavior management is particularly needed for families with adolescent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자녀권리 존중에 미치는 영향
- 학교생활만족도가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특수교사의 장애학생 부모상담 경험
-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반성적 모의 수업이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교사 효능감 및 교육에 대한 인식변화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을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삶
- 특수교육대상학생 평가조정의 개별화교육계획 반영과 평가 적용 실태
- 특수학교 내 협력적 언어재활 서비스 제공에 대한 실태 및 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
-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따뜻함’에 대한 특수교사의 의미 변별
- 자폐성장애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연구
-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내 그룹홈 참조 직업교육이 비고용 지적장애인의 조리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
- 일반교사의 중도․중복장애학생 통합교육 경험 및 지원요구
-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 중·고등학교 교과성취기준의 성교육 내용 분석
- 다중반응교수법(MEI)이 언어발달지연 학생의 우발적 언어 습득 능력 네이밍(Naming)에 미치는 효과
-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성취수준별 분수와 소수 문제해결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