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성취수준별 분수와 소수 문제해결력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zing the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fractions and decimals in the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고혜정 조영희 김동일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9권 제2호, 121~14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성취수준별 분수와 소수 문장제 문제해결능력을 인지진단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초등학생 4학년 437명을 대상으로 분수와 소수에 관한 수학문장제 검사를 시행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먼저, 4학년 교육과정의 내용 중 분수와 소수에 관한 인지요소 6개를 추출하여 문항과 인지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큐매트릭스를 작성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인지진단분석방법 중 하나인 DINA모델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그 결과, 인지요소 6개 모두 고성취, 중간성취, 저성취 순으로 숙달확률을 보였으며, 인지진단 상태는 저성취 학생들의 경우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결론: 인지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현재 수행상태와 보유하고 있는 인지요소를 확인하고, 부재상태인 인지요소에 대한 집중적인 교육이 제공되어야함을 제시하였고, 이에 대한 논의와 향후 연구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the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fractions and decimals in the 4th grade using cognitive diagnostic model. Method: Fourth grades(N=437) were measured on word problems test about fractions and decimals. As an analysis method for DINA model, first, we analyzed 4th mathematics curriculum and defined attributes about fractions and decimals. Second, we developed Q matrix that indicate which attributes are required for each item. After then, we analyzed this data using DINA model. Results: In 6 attributes about fractions and decimals, it showed high probability of mastery in high achievement group and showed low probability of mastery in low achievement group. Also, there were more various cognitive attribute patterns in low achievement group than middle and high achievement group. Conclusion: This result would be very helpful to understand the students’ mastery attributes and to teach non-mastery attributes for achievement.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자녀권리 존중에 미치는 영향
- 학교생활만족도가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특수교사의 장애학생 부모상담 경험
-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반성적 모의 수업이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교사 효능감 및 교육에 대한 인식변화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을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삶
- 특수교육대상학생 평가조정의 개별화교육계획 반영과 평가 적용 실태
- 특수학교 내 협력적 언어재활 서비스 제공에 대한 실태 및 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
-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따뜻함’에 대한 특수교사의 의미 변별
- 자폐성장애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연구
-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내 그룹홈 참조 직업교육이 비고용 지적장애인의 조리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
- 일반교사의 중도․중복장애학생 통합교육 경험 및 지원요구
-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 중·고등학교 교과성취기준의 성교육 내용 분석
- 다중반응교수법(MEI)이 언어발달지연 학생의 우발적 언어 습득 능력 네이밍(Naming)에 미치는 효과
-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성취수준별 분수와 소수 문제해결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