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중반응교수법(MEI)이 언어발달지연 학생의 우발적 언어 습득 능력 네이밍(Naming)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the Multiple Exemplar Instruction on the Naming and Incidental Language Acquisition for Students with ASD and Language Delay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최진혁 김대용 이상아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9권 제2호, 73~9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다중반응교수법(Multiple Exemplar Instruction, MEI)가 네이밍(Naming)습득 및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자폐스펙트럼장애 및 언어발달지연을 보이는 만3-6세의 아동 3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중재 전 기초선 측정 결과에 따라 네이밍 능력을 레퍼토리(repertoire)로 가지고 있지 않거나 향상이 필요한 아동들이었다. 본 연구의 종속변인은 네이밍 습득 및 향상으로, 종속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미리 선정된 2D 자극세트에 대한 청자반응(매칭)을 습득시킨 후 직접적으로 가르치지 않은 청자반응(포인팅)과 화자반응(택트, 인트라버벌)에 대한 정반응 수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으로 다중반응교수법(MEI)이 적용되었으며, 이 중재 기간 동안 연구 참여자는 미리 선정된 2D 자극세트에 대한 청자반응(매칭, 포인팅)와 화자반응(택트, 인트라버벌)의 비연속교수시도를 무작위의 순서로 제공받았다. 종속변인과 독립변인 간의 잠재적 기능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연구 결과 MEI는 자폐스펙트럼장애 및 언어발달지연을 보이는 연구참여자 3명의 네이밍 능력을 습득 또는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Purpose: We tested the effects of the Multiple Exemplar Instruction (MEI) procedure on the emergence of Naming. Method: Three kindergarten students, who were 3-6 year old males and diagnosed with ASD and/or language delay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was the emergence of Naming, which were tes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s to probe trials of both untaught listener responses (“point to__”) and speaker responses (tact and intraverbal) following mastery of matching responses for pre-determined probe 2D-stimulus sets.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was the mastery of the MEI in which listener (matching and pointing) and speaker (tact and intraverbal) responses were taught in a randomized sequence.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employed to identify a potential functional relation between the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Results & Conclusion: The results depict that the MEI effectively increased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s to the Naming probe trials (i.e., the emergence of Nam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진혁,김대용,이상아. (2017).다중반응교수법(MEI)이 언어발달지연 학생의 우발적 언어 습득 능력 네이밍(Naming)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19 (2), 73-94

MLA

최진혁,김대용,이상아. "다중반응교수법(MEI)이 언어발달지연 학생의 우발적 언어 습득 능력 네이밍(Naming)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19.2(2017): 73-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