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생활만족도가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school life satisfaction on career adaptability of students in special schools' majoring course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임혜경 최진혁 이연재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9권 제2호, 323~34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자는 B광역시 소재 특수학교 전공과에 재학 중인 학생 128명을 목적표집법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도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학교생활만족도와 진로적응성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조사 기간은 2016년 3월부터 5월까지 약 3개월이 소요되었다. 초기 150부를 발송하여 136부가 회수되었으며(회수율 91%), 최종 분석에는 128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생활만족도와 진로적응성 수준은 높은 편이며, 지적만족, 자아실현, 학교환경에 대한 학교생활만족도와 관심, 통제에 대한 진로적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생활만족도는 출신고교 유형에 따라, 진로적응성은 장애등급, 진로교육 및 훈련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등급이 낮고, 진로교육 및 훈련경험이 있으며, 교사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진로적응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교우활동은 진로적응성 하위요인에 부적 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결론: 장애학생의 장애 특성을 고려한 진로교육을 수립하고 교우활동을 비롯한 학교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school life satisfaction on career adaptability of students in special schools’ majoring courses. Method: 128 students in special school’s majoring courses were recruited by purposive sampling method. School Life Satisfaction Scale and Career Adaptability Scale were modified and used based on prior research. The research was conducted between March and May 2016. The total of 150 questionnaires was sent to students and 136 were received(91%). Researchers identified 128 questionnaires and analyzed them using SPSS 23.0. Results: First, the overall level of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adaptability were relatively high. Also, the level of school life satisfaction on intellectual satisfaction, self-actualization and school environment and the level career adaptability on concern and control were especially high. Second, the level of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differed by the type of high schools they graduated. The level of career adaptation was differed by the level of disability and the experience of career education and training. Third, the level of career adaptability was higher when the student had a lower level of disability, had experienced career education and training, and they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teachers. Fourth, the activity with friends were identified to be an influencing factor as it appears to affect the sub-factors of career adaptation negatively or positively. Conclusion: It is concluded that we should establish career education considering students’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 and explore strategi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자녀권리 존중에 미치는 영향
- 학교생활만족도가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특수교사의 장애학생 부모상담 경험
-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반성적 모의 수업이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교사 효능감 및 교육에 대한 인식변화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을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삶
- 특수교육대상학생 평가조정의 개별화교육계획 반영과 평가 적용 실태
- 특수학교 내 협력적 언어재활 서비스 제공에 대한 실태 및 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
-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따뜻함’에 대한 특수교사의 의미 변별
- 자폐성장애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연구
-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내 그룹홈 참조 직업교육이 비고용 지적장애인의 조리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
- 일반교사의 중도․중복장애학생 통합교육 경험 및 지원요구
-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 중·고등학교 교과성취기준의 성교육 내용 분석
- 다중반응교수법(MEI)이 언어발달지연 학생의 우발적 언어 습득 능력 네이밍(Naming)에 미치는 효과
-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성취수준별 분수와 소수 문제해결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