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따뜻함’에 대한 특수교사의 의미 변별
이용수 0
- 영문명
- Semantic Differential on the ‘Ddadeutam’ of the ‘Ddadeutan’ Educational Community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은라 박재국 김민경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9권 제2호, 95~11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한국형 교육공동체인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따뜻함’의 이미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부산과 경남의 특수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198명을 대상으로 의미변별 기법을 활용하여 ‘따뜻함’에 대한 이미지를 살펴보았다. 수집된 데이터는 연구목적에 따라 탐색적 요인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사가 지각하는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따뜻함의 이미지 구성요인은 동반자 관계, 상호 존중, 조화와 단결, 수용과 배려, 배움과 성장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따뜻함’의 이미지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수준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교사 변인에 따른 이미지의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담당 학교 급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결론: 이를 바탕으로 특수교육에 있어 이상적인 교육공동체인 따뜻한 교육공동체 구성과 실현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age of 'ddadeutam' of the ddadeutan educational community, a Korean educational community recogniz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Method: For this purpose, 198 teachers who were in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in Busan and Gyeongnam were used for semantic discrimination. Data were analyz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Results: First, the components of the ddadeutan educational community recogniz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derived from partnership relationship, mutual respect, harmony and unity, acceptance and consideration, learning and growing. Second, the level of recognition of special teachers on image of 'ddadeutam' was found to be positive. The differences of meaning discrimination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ch as grade in charge were examined. Conclusion: Based on this, a strategy for constructing and realizing an ideal educational community for special education was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자녀권리 존중에 미치는 영향
- 학교생활만족도가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특수교사의 장애학생 부모상담 경험
-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반성적 모의 수업이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교사 효능감 및 교육에 대한 인식변화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을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삶
- 특수교육대상학생 평가조정의 개별화교육계획 반영과 평가 적용 실태
- 특수학교 내 협력적 언어재활 서비스 제공에 대한 실태 및 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
-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따뜻함’에 대한 특수교사의 의미 변별
- 자폐성장애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연구
-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내 그룹홈 참조 직업교육이 비고용 지적장애인의 조리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
- 일반교사의 중도․중복장애학생 통합교육 경험 및 지원요구
-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 중·고등학교 교과성취기준의 성교육 내용 분석
- 다중반응교수법(MEI)이 언어발달지연 학생의 우발적 언어 습득 능력 네이밍(Naming)에 미치는 효과
-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성취수준별 분수와 소수 문제해결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