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자녀권리 존중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Parental Stress on Respecting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Self-Esteem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서보순 한민경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9권 제2호, 21~4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자녀권리 존중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연구목적을 위해 2개 광역시와 5개도에 거주하는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 2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IBM SPSS Statistic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을 통제한 후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방법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의 자녀권리 존중은 양육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자아존중감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자녀권리 존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은 양육스트레스와 자녀권리 존중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발달지체영유아의 권리 증진을 위해 어머니와 영유아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mothers’ parenting stress effects mothers’ respecting the righ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lso,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self-esteem on the relations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perception.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260 mothers whose children have developmental delays and they were pooled from the residence in two metropolitan city and five province in Korea.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s were examined by Baron & Kenny’s statistical medication analysis. Results: First, mothers’ respecting the rights of children has negative relationships with parenting stress, but it ha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mothers’ self-esteem. Second, parenting stress has effects on mothers’ respecting the rights. Third, parenting stress has effects on their self-esteem. Forth, there is evidence for mothers’ self-esteem is working as mediating variables which medi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respecting the rights.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righ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was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자녀권리 존중에 미치는 영향
- 학교생활만족도가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특수교사의 장애학생 부모상담 경험
-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반성적 모의 수업이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교사 효능감 및 교육에 대한 인식변화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을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삶
- 특수교육대상학생 평가조정의 개별화교육계획 반영과 평가 적용 실태
- 특수학교 내 협력적 언어재활 서비스 제공에 대한 실태 및 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
-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따뜻함’에 대한 특수교사의 의미 변별
- 자폐성장애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연구
-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내 그룹홈 참조 직업교육이 비고용 지적장애인의 조리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
- 일반교사의 중도․중복장애학생 통합교육 경험 및 지원요구
-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 중·고등학교 교과성취기준의 성교육 내용 분석
- 다중반응교수법(MEI)이 언어발달지연 학생의 우발적 언어 습득 능력 네이밍(Naming)에 미치는 효과
-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성취수준별 분수와 소수 문제해결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