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 중·고등학교 교과성취기준의 성교육 내용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n Contents of Sexuality Education in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Basic Curriculum for Secondary School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정선경 한경근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9권 제2호, 171~19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 목적: 2015 개정 기본 교육과정에서 성교육 관련 내용을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는 장애 학생들에게 올바른 성적 자존감을 교육 할 수 있도록 기본 교육과정 안에서 장애학생의 성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에게 성교육을 재구성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2015개정 기본 교육과정 중·고등학교의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성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기본 교육과정 교과 중에서「국어」「사회」「과학」「진로직업」「체육」「음악」「미술」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도구는 미국성정보교육위원회(SIECUS)에서 제시한 ‘성교육 종합지침’이다. 연구 결과: 첫째, 성교육 관련을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영역별 분석 결과는 대인관계 영역, 인간관계 영역, 인간발달영역, 사회와 문화, 성 건강, 성행동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교육 관련 내용의 수준 분석결과 유치원과 초등 저학년, 초등 고학년, 중학교 수준, 고등학교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교육 관련 내용의 교과별 분석 결과는「사회」「국어」「진로직업」「과학」「체육」「음악」「미술」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기본 교육과정에 성교육과 관련 된 내용들이 수록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교과에서 성취 기준을 역량과 연계하고 교과 간 서로 통합하여 성교육을 재구성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reconstruct sexuality education for teachers in charge of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 the basic curriculum so that students can have right sexual self-esteem. Method: The sexuality education contents in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Basic Curriculum for middle and high schools were analyzed. A total of seven subjects’ curriculum including 「Korean」,「Social studies」,「Science」,「P.E.」,「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Music」and「Art」were examined using “Guidelines for sex education” by SIECUS. Results: First, the analysis result by area was in the order of personal relations, human relations, human development, society and culture, sexual health and sexual behavior. Second, the levels of sexuality education contents were in the order of kindergarten and early elementary school, elementary and high schools,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ird, the analysis result by subjects was in the order of 「Social Studies」,「Korean」,「Science」,「PE」,「Music」, and「Art」. Conclusion: The achievement standards could be linked to the subject-specific competency and integrated with different curriculums to reconstruct sexuality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선경,한경근. (2017).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 중·고등학교 교과성취기준의 성교육 내용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9 (2), 171-195

MLA

정선경,한경근.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 중·고등학교 교과성취기준의 성교육 내용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9.2(2017): 171-1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