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르 기반 전략과 동기화 전략 중심의 한국어 쓰기 전략 연구
이용수 33
- 영문명
- A Study on Analyzing Writing Strategie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Focusing on Genre-based Strategies and Motivational Strategie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이준호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56호, 291~31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genre-based and motivational writing strategies for Korean language leaners. It is no wonder writing strategies should be selected as more active instructional content in order to improve writing skills of Korean leaners. Though the importance of teaching writing strategies has been stressed for decades, the most notable ones have mainly been process-centric writing strategies. Considering that the difficulty of writing is related not only to motoring one’s writing process but to manage his or her writing tasks, and also considering the difficulty causes students many troubles in identifying a given task, managing the task and their motivation to keep writing on, task performance related motivational strategies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In the mean time, Korean language leaners in a higher level with a more specific purpose encounter unfamiliar, context-dependent and rigid genre of the specific area. And writing to meet the needs of the genr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successful writing. Therefor, It is ideal that the motivational strategies and genre-based strategies should more actively adapted as instructional contents to help Korean language leaners improve their writing skills. So, this study will examine the theories of the motivational and genre-based writing strategies and suggest the lists of both strategies that can apply to Korean language classrooms.
목차
1. 서론
2. 쓰기 교육 내용으로서의 전략의 입지
3. 교육 내용으로서의 쓰기 전략
4.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세종학당의 한국어 교육 발전 방안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의 피드백 연구 동향 분석
- The Influence of English on Articulatory Accuracy of Korean Nonwords
- 구어 자료 활용이 듣기 평가 문항 개발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한국어 연결어미 ‘-다가’의 교육 내용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수정에서 상위인지 작용 연구
- 재외동포 아동을 위한 학습자 중심 한국어 교재 개발
- 한국어 교사의 쓰기 평가 효능감과 평가 특성 연구
- 장르 기반 전략과 동기화 전략 중심의 한국어 쓰기 전략 연구
- 한국어 중급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청자 반응 표현 연구
- 모바일 메신저 대화에서 나타나는 공손 전략
-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한국어 사동문 처리
- 한국어 자모음 발음 교육용 멀티미디어 자료 개발 연구
- 한국어교육 연구에서의 교사, 학습자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