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세종학당의 한국어 교육 발전 방안 연구
이용수 1
- 영문명
- A Study on the Approaches of Developing King Sejong Institute’s Korean Language Education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김세훈 조현용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56호, 31~5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research paper focuses on the developmental approach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the King Sejong Institute in terms of plans and policy. This paper aims to review previous research and arguments in parts of general research regarding the King Sejong Institute and studies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King Sejong Institute. Based on this, the research seeks ways to expand the King Sejong Institute’s specialized approaches and metho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understanding of culture through language. Approaches to specialize the King Sejong Institute’s Korean language education suggests the following issues: 1) requirements of using standard textbooks; 2) development of supplementary materials; 3) introduction of textbook quality control system; 4) strengthening faculty eligibility criteria; 5) expanding the dispatch of Korean faculty and strengthening local teacher training; and 6) local institutionalization for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In addition,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through language education, there are further needs to: 1) build a system in connection with Korean cultural centers 2) develop and supply textbooks of Korean culture; 3) expand the dispatch of Korean faculty and strengthen local teacher training; 4) develop Korean cultural programs for cultural regions 5) develop customized Korean cultural programs; 6) build Korean language related one-stop service system; and 7) expand connection with local Korean companies. The King Sejong Institute foundation is still in its preliminary stages. Therefore, development plans should be based on a variety of policy proposals and continuous investigation and analysis. Specific measures willbe further presented in future research.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2. 선행 연구의 검토
3. 세종학당의 한국어 교육 전문화 방안
4. 세종학당의 한국어를 통한 한국문화 이해 확대
5.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세종학당의 한국어 교육 발전 방안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의 피드백 연구 동향 분석
- The Influence of English on Articulatory Accuracy of Korean Nonwords
- 구어 자료 활용이 듣기 평가 문항 개발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한국어 연결어미 ‘-다가’의 교육 내용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수정에서 상위인지 작용 연구
- 재외동포 아동을 위한 학습자 중심 한국어 교재 개발
- 한국어 교사의 쓰기 평가 효능감과 평가 특성 연구
- 장르 기반 전략과 동기화 전략 중심의 한국어 쓰기 전략 연구
- 한국어 중급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청자 반응 표현 연구
- 모바일 메신저 대화에서 나타나는 공손 전략
-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한국어 사동문 처리
- 한국어 자모음 발음 교육용 멀티미디어 자료 개발 연구
- 한국어교육 연구에서의 교사, 학습자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