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어 자료 활용이 듣기 평가 문항 개발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Research on the Effect of Utilizing Audio Sources in Developing Listening Test Item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김지혜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56호, 109~13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audio sources that Korean teachers utilize when developing listening test items. Before developing listening test items, teachers consider learners’ competency and learning targets to set the goal of the test. And after confirming if topics and contents are suitable for the test, teachers collect materials and try to make a meaningful listening test utilizing audio sources as much as possible. However, issues arise at this point: Most of the contents teachers use for a listening test are from written media. Teachers then change those written contents into spoken ones, such as dialogues or monologues. Listening test items derived from these contents are in fact not different from reading test items, and it causes reading questions appearing in a listening test. Assuming this kind of test item production somewhat restricts proper evaluation for learners’ listening ability, the researcher of this paper looked into how materials used in making listening test affected the test items. In her experiment, well-experienced Korean teach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as given materials from audio resources, and the other group was given materials from written one. The two groups were then asked to produce listening test items. In the result, the latter group was turned out to have developed better test items which are more closed to the nature of listening.
목차
1. 서론
2. 듣기 평가에서의 구어 자료 활용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및 논의
5.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세종학당의 한국어 교육 발전 방안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의 피드백 연구 동향 분석
- The Influence of English on Articulatory Accuracy of Korean Nonwords
- 구어 자료 활용이 듣기 평가 문항 개발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한국어 연결어미 ‘-다가’의 교육 내용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수정에서 상위인지 작용 연구
- 재외동포 아동을 위한 학습자 중심 한국어 교재 개발
- 한국어 교사의 쓰기 평가 효능감과 평가 특성 연구
- 장르 기반 전략과 동기화 전략 중심의 한국어 쓰기 전략 연구
- 한국어 중급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청자 반응 표현 연구
- 모바일 메신저 대화에서 나타나는 공손 전략
-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한국어 사동문 처리
- 한국어 자모음 발음 교육용 멀티미디어 자료 개발 연구
- 한국어교육 연구에서의 교사, 학습자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