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교사의 쓰기 평가 효능감과 평가 특성 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Assessment Self-Efficacy and Evalu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Writing Assessment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이인혜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56호, 231~266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analyzed writing assessment self-efficac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heir evaluation characteristics. Our purpose was to collect information about raters and to gain a basic understanding of Korean writing assessment and training for raters. To do this, we split 39 Korean language teachers into three groups based on experience and asked them to complete a Korean writing assessment self-efficacy examination and to actually evaluate a composition. The results were then analyzed using FACETS, a statistics program which uses the “Many-facet Rasch Model” There was a noticeabl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of teachers with less than two years of experience (A) and the two groups of teachers with more than two years of experience (B, C). There was a larger difference in “general writing assessment self-efficacy” than “practical writing assessment self-efficacy.” The three groups showed differences as to their strictness in using evaluation criteria. This creates a connection between writing assessment ability and writing assessment self-efficacy. The three groups also showed differences in suitable consistency. Teachers with more experience showed more suitable consistency. The group of teachers with less than two years of experience (A) showed over-fitted and mis-fitted consistency, causing a statistical difference in “general writing assessment self-efficacy.” Because writing assessment self-efficacy and assessment ability affect one another, there needs to be more training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based on this type of writing assessment self-efficacy and evaluation characteristics.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
4. 한국어 교사의 쓰기 평가 효능감과 평가 특성
5.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세종학당의 한국어 교육 발전 방안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의 피드백 연구 동향 분석
- The Influence of English on Articulatory Accuracy of Korean Nonwords
- 구어 자료 활용이 듣기 평가 문항 개발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한국어 연결어미 ‘-다가’의 교육 내용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수정에서 상위인지 작용 연구
- 재외동포 아동을 위한 학습자 중심 한국어 교재 개발
- 한국어 교사의 쓰기 평가 효능감과 평가 특성 연구
- 장르 기반 전략과 동기화 전략 중심의 한국어 쓰기 전략 연구
- 한국어 중급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청자 반응 표현 연구
- 모바일 메신저 대화에서 나타나는 공손 전략
-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한국어 사동문 처리
- 한국어 자모음 발음 교육용 멀티미디어 자료 개발 연구
- 한국어교육 연구에서의 교사, 학습자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