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Influence of English on Articulatory Accuracy of Korean Nonwords
이용수 3
- 영문명
- 한국어 무의미 단어의 조음정확성에 미치는 영어의 영향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윤석연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56호, 183~20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제2언어인 영어가 먼저 습득한 제1언어인 한국어 자음 및 모음을 정조음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이주하여 평균 4년 7개월을 거주한 8~13세 아동 9명, 만 11세 이후 미국으로 이주하여 평균 4년 8개월을 거주하고 미국 대학 또는 대학원에 재학 중인 21~33세 성인 8명, 영어권 지역에 거주한 경험이 없으며, 학교 교과과정 외에 영어학습을 하지 않은 8~13세 아동 18명이 참여하였다. 이 세 집단은 한국어의 음운규칙을 따르지만,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은 16개의 무의미단어를 듣고 따라 말하였다. 이들의 발화전사를 토대로 계산한 음운정확도, 자음정확도, 모음정확도는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사후검정에 의하면 이중언어아동의 조음정확도(M=90.2)가 이중언어성인(M=94.9)과 단일어아동(M=94.6)보다 발음 정확도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성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단일어 아동의 조음정확도와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성인의 조음정확도가 차이가 없음은 일반적으로 조음음운발달이 완성되는 시기이후에 습득한 영어는 한국어 음소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함을 시사한다. 반면에, 만9세 이전 영어에 집중적으로 노출된 아동의 조음정확도는 한국어 단일어 아동의 조음정확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아동기 때 영어에 집중적으로 노출될 경우 제1언어인 한국어를 조음하는데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목차
1. Introduction
2. Method
3. Results
4. Summary and Discussion
5.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세종학당의 한국어 교육 발전 방안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의 피드백 연구 동향 분석
- The Influence of English on Articulatory Accuracy of Korean Nonwords
- 구어 자료 활용이 듣기 평가 문항 개발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한국어 연결어미 ‘-다가’의 교육 내용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수정에서 상위인지 작용 연구
- 재외동포 아동을 위한 학습자 중심 한국어 교재 개발
- 한국어 교사의 쓰기 평가 효능감과 평가 특성 연구
- 장르 기반 전략과 동기화 전략 중심의 한국어 쓰기 전략 연구
- 한국어 중급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청자 반응 표현 연구
- 모바일 메신저 대화에서 나타나는 공손 전략
-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한국어 사동문 처리
- 한국어 자모음 발음 교육용 멀티미디어 자료 개발 연구
- 한국어교육 연구에서의 교사, 학습자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