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거절 전략을 구성하는 언어적 표현 및 발화 내용 분석
이용수 10
- 영문명
- An Analysis on linguistic expression and the contents of utterance among TKLs during refusal speech act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황선영 사마와디 강해 노아실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74호, 475~49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order to teach explicit speech acts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context of specific conversational situations, a study on linguistic and socio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and Korean must precede. Therefor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various aspects of refusal speech acts conducted by Thai Korean Learners (TKL) including strategy, linguistic expression, and contents of utterance, and to sample the items that are prone to pragmatic failure. The study first required twenty Korean Native Speakers (KNS) to evaluate the relevance of TKL’s utterances and confirmed that pragmatic failures are more likely to happen in contexts where the listener is at a higher social position. Then the study conducted a DCT to collect data on forty-two TKL, and analyzed the patterns in realization of refusal speech acts in comparison to their native language Thai. The results showed that TKL may use the same refusal strategy as KNS but their linguistic expression or the contents of refusal may be inappropriate due to the impact of their native language. The value of this research lies in analyzing the Korean learner’s problematic utterances pointed out by KNS from various aspects including strategy, linguistic expression, and contents of utterance in comparison to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Such diagnosis will help better understand where exactly the learners make pragmatic failures and improve the teaching methods of pragmatic teaching.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4. 태국인 학습자의 거절 표현 분석
5. 태국인 학습자의 거절 발화 내용 분석
5. 결론 및 교육적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 대학교 한국어 학습자의 동기저하 요인 연구
- 중국 내 한국어 전공 학습자를 위한 접속부사의 오류 양상 연구
- 韓語飲食慣用語及其文化與認知分析
- 협력학습이 한국어 자기효능감과 수업 몰입에 미치는 영향
- 한ꞏ중 ‘아프다’, ‘痛’류 어휘의 의미 양상 대조 연구
- 미국 대학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지속 동기 연구
- 한국어 교재에 대한 텍스트기호학적 연구 시론
- 한국어 예비교원의 국외 ‘사전 실습’ 프로그램 개발과 실제
-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거절 전략을 구성하는 언어적 표현 및 발화 내용 분석
- 청소년 한국어(KSL) 학습자를 위한 ‘학습 도구 한국어’ 교육 내용 연구
- 논증 기반의 언어평가 타당화 연구의 이해
- 화상교육을 활용한 한국어 튜터링 사례 연구
- 내용 중심 교수법에 기반한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학습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메타언어 서면 피드백에 대한 오류 수정 실패 요인 분석
- 한국어 학습자의 모어 간섭에 의한 오류에 대하여
- 한국어 추측 표현의 화용적 특성 연구
- 특수 목적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내용 기반 한국어 수업 구성 방안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