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학습자의 메타언어 서면 피드백에 대한 오류 수정 실패 요인 분석
이용수 14
- 영문명
- Analysis of factors of failure of error correction regarding written feedback metalanguage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박현진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74호, 123~14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ntage of learner’s errors correction based on metalanguage written feedback provided by their instructor in Korean language writing, and also the cognitive process that they follow when integrating the feedback. Drawing upon this, the present research also aims to investigate the reasons behind the failure of feedback incorporation. A speak out aloud protocol has been followed to explore learners’ cognitive processes when they receive metalanguage written error feedback. The procedure of this study started by giving metalanguage feedback to 7 learners of Korean after a writing class. The learners were then required to review their drafts incorporating the feedback, but by verbalizing out aloud their thoughts while doing thi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written compositions and the recording of the verbalizations revealed that 1) learners corrected about 85% of their errors after receiving feedback, and that 2) reasons for not correcting errors even after receiving feedback can be grouped into the four categories of “lack of attention”, “lack of vocabulary knowledge”, “pronunciation error”, and “insufficient teacher’s explanations”. Among these, three indicates issues on the side of the learner, such as lack of attention, and that also language proficiency and an accurate pronunciation are important. Nevertheless, a further reason indicates that the teacher must provide enough content when giving metalanguage written feedback. This study approached the issue of individuating the reasons of failure of written feedback from a qualitative perspective, and we believe that it can help students in understanding feedback thus improving language proficienc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 대학교 한국어 학습자의 동기저하 요인 연구
- 중국 내 한국어 전공 학습자를 위한 접속부사의 오류 양상 연구
- 韓語飲食慣用語及其文化與認知分析
- 협력학습이 한국어 자기효능감과 수업 몰입에 미치는 영향
- 한ꞏ중 ‘아프다’, ‘痛’류 어휘의 의미 양상 대조 연구
- 미국 대학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지속 동기 연구
- 한국어 교재에 대한 텍스트기호학적 연구 시론
- 한국어 예비교원의 국외 ‘사전 실습’ 프로그램 개발과 실제
-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거절 전략을 구성하는 언어적 표현 및 발화 내용 분석
- 청소년 한국어(KSL) 학습자를 위한 ‘학습 도구 한국어’ 교육 내용 연구
- 논증 기반의 언어평가 타당화 연구의 이해
- 화상교육을 활용한 한국어 튜터링 사례 연구
- 내용 중심 교수법에 기반한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학습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메타언어 서면 피드백에 대한 오류 수정 실패 요인 분석
- 한국어 학습자의 모어 간섭에 의한 오류에 대하여
- 한국어 추측 표현의 화용적 특성 연구
- 특수 목적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내용 기반 한국어 수업 구성 방안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