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ꞏ중 ‘아프다’, ‘痛’류 어휘의 의미 양상 대조 연구
이용수 7
- 영문명
- A study on the meaning aspect of Pain-related lexicon in Korean and Chinese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이대현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74호, 361~38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emantics of pain-related lexicon in Korean and Chinese from the perspective of contrast linguistics such as ‘아프다’ in Korean and ‘痛’ in Chinese.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his article, ‘아프다’, ‘쓰리다’ and ‘저리다’ in Korean and ‘痛’, ‘刺痛’ and ‘麻’ in Chinese were selected as corresponding lexicons. They were reviewed in detail through basic meaning and extended meaning in the dictionary and usage in the corpus. In Chapter 2, basic meaning of ‘아프다’ and ‘痛’ were reviewed and they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ir basic meanings. In Chapter 3, extended meaning of ‘아프다’ and ‘痛’ line lexicons were reviewed through the usage in corpus and then compared.
목차
1. 서론
2. ‘아프다’류, ‘痛’류 어휘의 기본 의미
3. ‘아프다’류, ‘ ’류 어휘의 확장 의미
4.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 대학교 한국어 학습자의 동기저하 요인 연구
- 중국 내 한국어 전공 학습자를 위한 접속부사의 오류 양상 연구
- 韓語飲食慣用語及其文化與認知分析
- 협력학습이 한국어 자기효능감과 수업 몰입에 미치는 영향
- 한ꞏ중 ‘아프다’, ‘痛’류 어휘의 의미 양상 대조 연구
- 미국 대학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지속 동기 연구
- 한국어 교재에 대한 텍스트기호학적 연구 시론
- 한국어 예비교원의 국외 ‘사전 실습’ 프로그램 개발과 실제
-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거절 전략을 구성하는 언어적 표현 및 발화 내용 분석
- 청소년 한국어(KSL) 학습자를 위한 ‘학습 도구 한국어’ 교육 내용 연구
- 논증 기반의 언어평가 타당화 연구의 이해
- 화상교육을 활용한 한국어 튜터링 사례 연구
- 내용 중심 교수법에 기반한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학습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메타언어 서면 피드백에 대한 오류 수정 실패 요인 분석
- 한국어 학습자의 모어 간섭에 의한 오류에 대하여
- 한국어 추측 표현의 화용적 특성 연구
- 특수 목적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내용 기반 한국어 수업 구성 방안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